학술논문
이하선절제술시 Modified Facelift 절개의 유용성
이용수 23
- 영문명
- Usefulness of Modified Facelift Incision for Parotidectomy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김동영(Dong Young Kim) 임영창(Young Chang Lim) 최은창(Eun Chang Choi)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6권 제1호, 37~4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most commonly used incision for parotidectomy is modified Blair incision, but it has unsatisfactory cosmetic result due to long exposed scar in the neck. Therefore, we introduce an alternative approach with more acceptable scar named modified facelift incision. We report it's techniques, indications and disadvantages with our experience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he 1999, 15 patients were underwent parotidectomies using modified facelift incision. We studie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cosmetic results re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11 benign tumors, 3 malignant tumors, and 1 chronic inflammation. Total parotidectomy was performed in 2 malignant tumors and chronic parotitis patients. The others has superficial parotidectomy. In terms of operation fiel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lassical incision and facelift incision. Partial facial nerve palsy was noted in 2 cases, who required sacrifice of branches of facial nerve because of malignant tumor invasion. There were no specif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is type of approach. Postoperative cosmetic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all cases.
Conclusion: Modified facelift incision provides better cosmetic result than conventional incision without narrowing of operation field. We believe that it is a safe alternative approach to all parotidectomy cases especially to women and patient with keloid skin. The only limitation of this incision is poor adaptability for combining neck dissection.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수술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두경부 혈관중심성 T세포 림프종의 발생주위 및 병기별 치료결과
- Neurofibromatosis Type I 환자에서 부인두강에 발생한 거대 신경섬유종증 1례
- 갑상선 우연암종의 임상병리적 특성
- 부인강에서 발생한 설하신경의 신경초종 1례
- 타액선 악성 종양 환자에 대한 치료성적
- 두경부 악성 종양 조직내 간질액 압력
- 피판 부전증의 구제를 위한 약용거머리 치료법
-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형광동소결합을 이용한 제17번 염색체의 다염색체 소견
- 갑상선 결절의 술전진단과 술후 조직학적 결과의 비교분석
- 이하선절제술시 Modified Facelift 절개의 유용성
- 갑상선 재발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고찰
- 구강내 발생한 지방종 2례
- 설신경에서 발생한 신경초종 1례
- 후두암종에서 Ebstein-Barr 바이러스 DNA와 Bcl-2 단백의 검색
- 하인두 및 경부식도 결손의 재건
- 갑상설관 낭종에서 발생한 유두상 선암 1예
- 타액선 질환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유용성
- 이하선의 다발성 소관선종(Canalicular Adenoma)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