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近代中國知識分子的紅學觀硏究

이용수  79

영문명
A Study on Views of Hong-Lou-Meng in Modern Chinese Intelletual Class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최용철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13집, 115~1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청대 중엽 건륭연간에 출현한 ≪홍루몽≫은 처음 필사본으로 작자 주변의 일부 인사를 중심으로 전해졌으나 뛰어난 작품성과 예술적 성취에 힘입어 지식인 계층 급속하게 전파되었다. 급기야 정위원에 의한 120회 간행본이 나오면서 전국 각지로 유행처럼 번져간 ≪홍루몽≫은 지금까지 소설에 대해 소원한 관계를 유지하던 지식인으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다. 그것은 이 작품이 문인소설로서의 지적인 성취감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으며 고금의 문화를 다양한 스펙트럼을 통하여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홍학’이라는 말은 청말 지식인들 사이에 희화적으로 시작된 용어이기는 하지만 점차 이 작품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경학의 연구와도 비견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게 되었음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胡適의 ≪홍루몽≫ 연구에 대해 고무받은 顧?剛은 이를 신홍학이라고 명명하고 청대의 홍학의 구홍학으로 구분지었다. 이는 바로 홍학의 현대화가 시작된 시점이기도 하다. 근대에 접어들기 시작하는 19세기 중엽 ≪홍루몽≫ 연구는 평점비평이 주종을 이루며 이는 청말에 이르기까지 지속된다. 그 중에서도 王孝廉과 張新之, 姚燮의 三家비평은 19세기 말에 하나로 묶여져서 당시의 독서계를 풍미하는 베스트 셀러가 된다. 왕희렴은 전통적인 비평가로서의 보수성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섬세하고 진지한 독서 경험을 평론에 반영시켜 전통문인들의 환영을 받았으며, 장신지는 자신의 운명만큼이나 기구한 비평 경험 속에 이 작품을 ≪대학≫과 ≪중용≫ 혹은 ≪주역≫과 같은 유가의 경전에 비유하여 역시 전통 문인의 안목 속에 새롭게 자리잡은 소설의 위상을 드러내고 있다. 청말의 저명한 문인으로서의 요섭은 특히 작품내의 각종 현상에 대한 통계에 밝아 다양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전문적인 홍학가는 아니지만 특별한 경우에 ≪홍루몽≫의 가치를 강조하여 당시 고위 지식계층에 상당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던 사람으로 黃遵憲을 들 수가 있다. 일본주재 대사관의 참사관으로 근무하던 때 일본 고위문인과 나눈 필담 중에는 ≪홍루몽≫을 천지개벽과 같은 대 저술이요, 고금의 제일가는 소설로서 ≪좌전≫이나 ≪사기≫ 등과도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물론 상대적으로 과정성이 짙은 이러한 언급은 얼마 뒤에 왕국유에게서도 같은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어 중국 문인들의 수사 관행을 보여주기도 한다. 문학계혁명을 주장하고 ≪신소설≫을 창간하여 중국 신문학운동의 기반을 마련한 梁啓超나 그와 함께 문단에서 활약하던 그의 아우 양계훈(만수)이나 협인이란 필명의 문인 등도 다같이 ≪홍루몽≫의 가치를 정면으로 인정하면서 세계문학 속의 높은 위상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들에 비하면 왕국유는 정면으로 이 작품에 대한 전문 연구문장을 써내 현재적 의미의 공식 평론으로서 지금까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그의 평가기준이 황준헌의 경우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공허하고 서방의 염세주의 철학에 일방적으로 경도되어 있던 스물 아홉 살의 젊은 혈기 속에 쓰여진 문장이기에 아무래도 균형 감각에 일부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근대 중국의 지식인들이 ≪홍루몽≫을 어떻게 보았는가 하는 점은 근대이후 소설에 대한 지식인의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중요한 예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일부 평점비평가와 지식인의 홍학관을 살펴본 것이다.

목차

1. 近代時期≪紅樓夢≫在文壇上的地位
2. 淸代後期傳統方式的≪紅樓夢≫評點
3. 近代知識分子的≪紅樓夢≫讀法
4. 近代紅學對新紅學及當代紅學的影響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용철. (2001).近代中國知識分子的紅學觀硏究. 중국소설논총, 13 , 115-128

MLA

최용철. "近代中國知識分子的紅學觀硏究." 중국소설논총, 13.(2001): 115-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