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대별 가발 착용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연구
이용수 166
- 영문명
- A Study of Wig Usage and Perception in Men -Focusing on men suffering from hair loss in Pyeongtaek,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장순(Jang So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6권 제2호, 117~1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Korean wig industry to set a future direction by investigating wig usage and perception as a means of making up for hair loss against men in their 30-60s suffering from hair loss in Pyeongtaek, Gyeonggi-do. In terms of people's view on wi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found in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residence type (p>.05). Specifically, an amicable view was detected in those aged 60 or older, services and KRW 7 million or more in terms of age,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respectively. When asked which part they felt uncomfortable in the wig, 'the connecting part between the hair and wig' was mostly responded in college graduates, married, sales and KRW 4 thru less than 7 million in terms of educat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respectively. When asked what should be improved first in the wig, 'convenience to wear' was most responded (53 respondents, 44.2%). Recently, wigs have become more diverse in terms of type and function. Because the purchase of wig is closely related with household economy, however, it is needed to set rational and acceptable price ranges.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 convenient and functional wig. If more options are offered to custom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wig design which can meet their diverse needs and demand, Korean wig market would further grow and flourish and generate synergy effec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미용 종사자의 내부마케팅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복 패션 시장의 특성 및 디자인 경향 분석
- 그리스ㆍ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한 창작 업스타일 연구
- 공무원들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태도 및 미용교육 필요성 인식 연구
- 뷰티서비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레포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몬드리안의 선을 주제로 표현된 네일아트와 아트마스크 작품연구
- 전기영동관리에 따른 건ㆍ지성피부의 유ㆍ수분도 및 탄력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세대별 가발 착용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연구
- 미용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교수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유대감과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타우린 섭취 후 경락마사지가 중년여성의 혈중 피로ㆍ항산화물질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헤어 커트 디자인에 표현된 조형성에 관한 연구
- 조각보를 활용한 헤어아트 작품 연구
- 소목으로 염색한 모발의 물리적 성상 변화와 모표피의 형태 관찰
- 쿠사마 야요이의 생성과 소멸의 반복을 통한 아트메이크업 연구
- 헤어 커트에 사용되는 두상 분할에 대한 7섹션 존 연구
- 바디페인팅 제품 색상별 안전성 평가
- TV 홈쇼핑에서의 쇼핑성향에 따른 위험지각과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