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 수문시계열의 미래 경향성 분석
이용수 128
- 영문명
- Future Trend Analysis of Hydrologic Time Series in Chungju Dam Basin Using Quantile Reg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전환돈(Jun Hwan don) 김수전(Kim Soo j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3호, 275~2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수문시계열에 대한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충주댐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강수량, 유출량, 저류량에 대한 수문시계열 자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로 부터 기상계열을 수집하고 강우유출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량, 물수지 모형인 K-WEAT 모형을 이용하여 저류량을 모의하였다. 최종적으로 3개의 미래 수문계열인 월 강수량, 월 유출량, 월 저류량 계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위회귀분석을 통한 11개 분위별(5%, 10%, 20%, 30%, 40%, 50%, 60%, 70%, 80%, 90%, 95%) 선형회귀식을 산정하였으며 5% 유의수준으로 t-test에 의한 경향성을 검정한 결과 대부분의 수문 시계열에서 높은 분위의 증가경향과 낮은 분위의 감소경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래에는 수문 시계열의 변동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uture trend of hydrologic time series. We tri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time series like pre-cipitation, runoff, and storage volume series in Chungju Dam basin. Future daily weather serie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collected, runoff and storage volume series were simulated using the SWAT as a rainfall-runoff model and the K-WEAP as a water balance model, Finally the selected hydrologic time series were monthly precipitation, runoff, and storage volume series. Eleven quan-tile regress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quantiles (5%, 10%, 20%, 30%, 40%, 50%, 60%, 70%, 80%, 90%, 95%) were estimated. This study assessed trend in the series at 5% significance level. Most series were shown a increasing trend at the high quantiles and a decreasing trend at the low quantiles. The variability of hydrologic series was expected to be more greater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시나리오 자료 및 경향성 분석 방법
3. 적용 및 결과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노출조건에 따른 무피복 각형 CFT 기둥의 내화성능평가
- 현장성토실험을 통한 지주식 흙막이 배면지주의 수평변위억제효과에 대한 연구
- 다기능가동보 하류수위변화에 따른 방류능력 특성
- 이동상에서 토석류 발달 해석
-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운영ㆍ관리 시스템 개발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도 정밀평가지표 도출 및 적용
- 주택단지 하수관거 내 침입수/유입수 분석
- 강섬유보강 초속경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재료 및 휨인성 특성
- 수량화Ⅱ 분석을 이용한 사방지 유지/해제 기준인자 선정
- Seismic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 Supporting Single-Degree-of-Freedom Structures
- 해저터널 구난역에서의 냉각 시스템을 활용한 벽체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복합위험요소에 대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도 평가
- 외수위관측 기반 빗물펌프장 적정운영방안 연구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구역 일상조사ㆍ점검표 작성 연구
- 생애주기를 고려한 토사재해 방재시설 통합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CO₂ 포화 염수 투과실험에 따른 유정시멘트의 성분분석
- 지반 비파괴 검사 기법으로의 적외선 영상 활용
- 강우관측소의 공간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중앙코어 개방형 인텔리전트빌딩의 화재확산방지에 관한 연구
-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대지연 통합 플랫폼 개발 연구
- 수치해석에 의한 USGS의 토석류 실험의 물성치 평가
- 산악트램 객실 쾌적성 향상을 위한 저진동 랙앤피니언 추진장치 개발
-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 수문시계열의 미래 경향성 분석
- 기반시설 민원 자료 분석을 통한 목표 서비스 수준 결정
- 나이퀴스트 표본화 이론을 이용한낙하 충격 실험의 최적 표본화 속도 제안
-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한 지능형 철도 운영 시스템 개선방안
- 도시내 산지의 토석류 위험구역 예측
-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현황분석을 통한 예방대책 수립방향 도출
- 강우특성과 지질특성을 고려한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연구
- 집중호우에 따른 수해 발생 시 피난 속도를 고려한 대피소의 수용범위 분석
- Initiation Model과 Runout Model을 이용한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위험지역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재시나리오 및 섬유 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열적손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지진해일에 의한 교량의 피해유형 분석
- 내화뿜칠피복재의 내구성 촉진평가방법 표준화 연구(II)
- 토석류 발생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 분석
- 프리스트레스 복합트러스 거더의 가설공법에 따른 구조적 거동 연구
- 미계측 유역의 유량지속곡선 산정을 위한 확장역거리가중법의 적용성 평가
- Dynamic Evacuation Path Searching Considering Capacities of Shelters
- 아날로그 침압계를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구역의 출입문 개방력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 분석
- 기상청 1-km 해상도 RCP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
- 웨브가 비콤팩트 단면인 변단면 철골 보의 실물실험연구
- 도심지 산사태 취약지역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향
-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 고속철도교의 지진 시 이동하중 해석을 통한 열차 운행규정 검토
- 온도응력을 고려한 토공구간 급속경화궤도의 거동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