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재시나리오 및 섬유 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열적손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용수 60
- 영문명
-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Damage of the Concrete Tunnel Lining Depending on the Fire Scenario and Fiber Addi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권기석(Kwon Ki seok) 조범연(Cho Bum yeon) 채승언(Chae Seung un) 신현준(Shin Hyun jun) 박경훈(Park Kyung ho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3호, 193~20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에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많은 터널이 건설되고 있으며,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최근 10년간 화재추이를 살펴보면 전체 화재사고 중 약 13%가 차량에 의한 화재사고인 것으로 나타나 터널은 항상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터널 구조물의 화재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터널 라이닝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련된 규정조차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내화시험을 통해 폭렬특성 및 열적손상정도를 파악하여, 터널 구조물의 내화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섬유를 혼입한 시험과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볼 때, 콘크리트는 약 10~30 mm, 철근은 약 20~40 mm 깊이만큼 화재손상범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Many tunnels are under construction and have been completed due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in Korea. Also, further con-struction will be carried out. Meanwhile, it has been shown that for the fire trend over last 10 years, approximately 13% of overall fire accidents was caused by cars so that the tunnel has the potential risk factor at all time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fire damage of tunnel structures, various studies are under execution in the world but even regulations relating to the evaluation of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s rarely settled on the tunnel lining in Korea. Therefore, in the study, the explosive spalling and thermal damage will be figured out by the fire resistance test of the concrete tunnel lining so that th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on the fire resistance design of the tunnel structure. As a result of that, it has been shown that for each case of the test adding the fiber and also without the fiber, the fire damage scope has been reduced as much as approximate 10~30 mm for the concrete and 20~40 mm for the reinforcement.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연구범위 및 수행절차
3. 실험계획 및 방법
4. 실험결과 및 고찰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노출조건에 따른 무피복 각형 CFT 기둥의 내화성능평가
- 현장성토실험을 통한 지주식 흙막이 배면지주의 수평변위억제효과에 대한 연구
- 다기능가동보 하류수위변화에 따른 방류능력 특성
- 이동상에서 토석류 발달 해석
-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운영ㆍ관리 시스템 개발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도 정밀평가지표 도출 및 적용
- 주택단지 하수관거 내 침입수/유입수 분석
- 강섬유보강 초속경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재료 및 휨인성 특성
- 수량화Ⅱ 분석을 이용한 사방지 유지/해제 기준인자 선정
- Seismic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 Supporting Single-Degree-of-Freedom Structures
- 해저터널 구난역에서의 냉각 시스템을 활용한 벽체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복합위험요소에 대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도 평가
- 외수위관측 기반 빗물펌프장 적정운영방안 연구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구역 일상조사ㆍ점검표 작성 연구
- 생애주기를 고려한 토사재해 방재시설 통합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CO₂ 포화 염수 투과실험에 따른 유정시멘트의 성분분석
- 지반 비파괴 검사 기법으로의 적외선 영상 활용
- 강우관측소의 공간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중앙코어 개방형 인텔리전트빌딩의 화재확산방지에 관한 연구
-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대지연 통합 플랫폼 개발 연구
- 수치해석에 의한 USGS의 토석류 실험의 물성치 평가
- 산악트램 객실 쾌적성 향상을 위한 저진동 랙앤피니언 추진장치 개발
-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 수문시계열의 미래 경향성 분석
- 기반시설 민원 자료 분석을 통한 목표 서비스 수준 결정
- 나이퀴스트 표본화 이론을 이용한낙하 충격 실험의 최적 표본화 속도 제안
-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한 지능형 철도 운영 시스템 개선방안
- 도시내 산지의 토석류 위험구역 예측
-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현황분석을 통한 예방대책 수립방향 도출
- 강우특성과 지질특성을 고려한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연구
- 집중호우에 따른 수해 발생 시 피난 속도를 고려한 대피소의 수용범위 분석
- Initiation Model과 Runout Model을 이용한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위험지역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재시나리오 및 섬유 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열적손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지진해일에 의한 교량의 피해유형 분석
- 내화뿜칠피복재의 내구성 촉진평가방법 표준화 연구(II)
- 토석류 발생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 분석
- 프리스트레스 복합트러스 거더의 가설공법에 따른 구조적 거동 연구
- 미계측 유역의 유량지속곡선 산정을 위한 확장역거리가중법의 적용성 평가
- Dynamic Evacuation Path Searching Considering Capacities of Shelters
- 아날로그 침압계를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구역의 출입문 개방력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 분석
- 기상청 1-km 해상도 RCP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
- 웨브가 비콤팩트 단면인 변단면 철골 보의 실물실험연구
- 도심지 산사태 취약지역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향
-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 고속철도교의 지진 시 이동하중 해석을 통한 열차 운행규정 검토
- 온도응력을 고려한 토공구간 급속경화궤도의 거동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