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반시설 민원 자료 분석을 통한 목표 서비스 수준 결정
이용수 63
- 영문명
- Determinants of Process Setting Target Level of Service through the Analysis of Complaints Data caused by Infra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미연(Park Mi yun) 김장희(Kim Jang hee) 김형수(Kim Hyung su) 도수정(Do Su jeong) 김서연(Kim Seo yun) 심재엽(Shim Jae yeob)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3호, 91~9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반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는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는 것이다. 관련 시설이 건설되고 나면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개ㆍ대체 항목의 많은 부분들이 민원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서 선진 자산관리 수행기관들에서는 목표 서비스 수준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하면서 개ㆍ대체 연차별,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국내 자산관리 수행이 진행되고 있는 S지역의 하수 민원대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악취, 파손, 역류 등에 대한 S지역의 서비스 수행 내용을 분석하고 선진 자산관리 수행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하수시설 민원 처리시간 및 목표 서비스 수준을 개발하는 단계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S지역의 향후 서비스 목표 수준을 관리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주었다.
영문 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the asset management system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is to manage the level of service. After the facilities were built, many parts of the replacement or repair items will be occurred by the requests of the users on the way of operation and management. Many advanced asset management agencies are setting and developing the target service level for man-ag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mselves, and also establish annual repair and replacement plan and a long-term plan, based on their target aim. In this study, the complaints related with the sewage of S-area were analyzed, in which is progressed the domestic asset management development for the facilities and pipes related to wastewater. Based on these complaints data, the S-area's service performance of odor, damage and back flow, etc.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service level management strategies of advanced asset management agency. Through the steps, response times of complaints having the unclear standards or guidelines developed into the more clearly establishment making the target level of service. The establishment of target LOS will constitute a standard that allows to manage the future service level of S-area.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현행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국내외 민원 분석 사례
3. S지역의 민원처리 관련 서비스 수준 결정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노출조건에 따른 무피복 각형 CFT 기둥의 내화성능평가
- 현장성토실험을 통한 지주식 흙막이 배면지주의 수평변위억제효과에 대한 연구
- 다기능가동보 하류수위변화에 따른 방류능력 특성
- 이동상에서 토석류 발달 해석
-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운영ㆍ관리 시스템 개발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도 정밀평가지표 도출 및 적용
- 주택단지 하수관거 내 침입수/유입수 분석
- 강섬유보강 초속경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재료 및 휨인성 특성
- 수량화Ⅱ 분석을 이용한 사방지 유지/해제 기준인자 선정
- Seismic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 Supporting Single-Degree-of-Freedom Structures
- 해저터널 구난역에서의 냉각 시스템을 활용한 벽체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복합위험요소에 대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도 평가
- 외수위관측 기반 빗물펌프장 적정운영방안 연구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구역 일상조사ㆍ점검표 작성 연구
- 생애주기를 고려한 토사재해 방재시설 통합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CO₂ 포화 염수 투과실험에 따른 유정시멘트의 성분분석
- 지반 비파괴 검사 기법으로의 적외선 영상 활용
- 강우관측소의 공간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중앙코어 개방형 인텔리전트빌딩의 화재확산방지에 관한 연구
-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대지연 통합 플랫폼 개발 연구
- 수치해석에 의한 USGS의 토석류 실험의 물성치 평가
- 산악트램 객실 쾌적성 향상을 위한 저진동 랙앤피니언 추진장치 개발
-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 수문시계열의 미래 경향성 분석
- 기반시설 민원 자료 분석을 통한 목표 서비스 수준 결정
- 나이퀴스트 표본화 이론을 이용한낙하 충격 실험의 최적 표본화 속도 제안
-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한 지능형 철도 운영 시스템 개선방안
- 도시내 산지의 토석류 위험구역 예측
-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현황분석을 통한 예방대책 수립방향 도출
- 강우특성과 지질특성을 고려한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 연구
- 집중호우에 따른 수해 발생 시 피난 속도를 고려한 대피소의 수용범위 분석
- Initiation Model과 Runout Model을 이용한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위험지역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재시나리오 및 섬유 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열적손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지진해일에 의한 교량의 피해유형 분석
- 내화뿜칠피복재의 내구성 촉진평가방법 표준화 연구(II)
- 토석류 발생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 분석
- 프리스트레스 복합트러스 거더의 가설공법에 따른 구조적 거동 연구
- 미계측 유역의 유량지속곡선 산정을 위한 확장역거리가중법의 적용성 평가
- Dynamic Evacuation Path Searching Considering Capacities of Shelters
- 아날로그 침압계를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구역의 출입문 개방력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 분석
- 기상청 1-km 해상도 RCP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
- 웨브가 비콤팩트 단면인 변단면 철골 보의 실물실험연구
- 도심지 산사태 취약지역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향
-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 고속철도교의 지진 시 이동하중 해석을 통한 열차 운행규정 검토
- 온도응력을 고려한 토공구간 급속경화궤도의 거동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