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양한 눈썹처짐 교정술에 따른 눈썹올림효과 분석
이용수 7
- 영문명
- Clinical Outcomes of Browlift Using Various Method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석중 유혜린,Sok Joong Chung, MD, Helen Lew,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5,number4, 473~47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outcomes of browlift using various surgical methods including direct browplasty, endoscopic browlift and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Methods: Twenty-eight brow ptosis cases in 19 patients were tre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 patient age was 67.9 ± 9.7 years, and the mean observation period was 9.0 ± 3.8 months. Nine cases were treated with direct browplasty, eight cases with endoscopic browlift and 11 cases with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Photographs of patients were taken before surgery and two months, six months and on the final follow-up after surgery. The brow-to-pupil distance (BPD), brow-to-medial canthus distance (BMCD), and brow-to-lateral canthus distance (BLCD) were analyzed by the Image J Program.
Results: BPD increased 1.88 ± 0.99 mm, BMCD increased 1.06 ± 1.21 mm and BLCD increased 1.36 ± 1.17 mm in all patients six months after surgery. Regarding the change in BPD, direct browplasty increased 1.79 ± 1.29 mm, endoscopic browlift increased 1.94 ± 0.80 mm and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increased 1.90 ± 0.94 mm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n the final follow-up. In terms of brow shape, direct browplasty effectively elevated the lateral brow and endoscopic browlift effectively elevated the medial brow compared to other procedures.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any patient.
Conclusions: Browlift techniques such as direct browplasty, endoscopic browlift and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are safe and effective surgical methods to correct brow height and shape in patients with brow ptosis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4):473-479
Methods: Twenty-eight brow ptosis cases in 19 patients were tre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 patient age was 67.9 ± 9.7 years, and the mean observation period was 9.0 ± 3.8 months. Nine cases were treated with direct browplasty, eight cases with endoscopic browlift and 11 cases with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Photographs of patients were taken before surgery and two months, six months and on the final follow-up after surgery. The brow-to-pupil distance (BPD), brow-to-medial canthus distance (BMCD), and brow-to-lateral canthus distance (BLCD) were analyzed by the Image J Program.
Results: BPD increased 1.88 ± 0.99 mm, BMCD increased 1.06 ± 1.21 mm and BLCD increased 1.36 ± 1.17 mm in all patients six months after surgery. Regarding the change in BPD, direct browplasty increased 1.79 ± 1.29 mm, endoscopic browlift increased 1.94 ± 0.80 mm and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increased 1.90 ± 0.94 mm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n the final follow-up. In terms of brow shape, direct browplasty effectively elevated the lateral brow and endoscopic browlift effectively elevated the medial brow compared to other procedures.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any patient.
Conclusions: Browlift techniques such as direct browplasty, endoscopic browlift and transblepharoplasty browlift are safe and effective surgical methods to correct brow height and shape in patients with brow ptosis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4):473-479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매독 포도막염의 임상양상
- 실모양각막염의 발생에 건성 각결막염과 각막의 폐쇄가 미치는 영향의 비교
- 각막굴절수술에서 웨이브프론트가이드와 웨이브프론트최적화 방식의 고위수차 및 시력의 비교
- 다양한 눈썹처짐 교정술에 따른 눈썹올림효과 분석
- 577 nm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의 단기 임상효과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의 망막지혈증
- 약시안에서 아트로핀 처벌치료의 약리 효과
- 외안근에 발생한 고립형 근농양 1예
-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 중증도에 따른 눈물막의 변화
- 내경계막 제거술 후 발생한 활꼴모양의 망막신경섬유층의 부종
- 정상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망막 혈관 직경과 관련 인자에 대한 분석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 시 모양체고랑 인공수정체 삽입술 후의 굴절이상값
- 아래눈꺼풀에 발생한 원발성 반지세포암종 1예
- 망막혈관폐쇄 질환에서 경동맥초음파로 측정된 내중막두께
- 눈꺼풀판 결막 아래 이물로 발견된 RGP 콘텍트렌즈 1예
- M-plus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임상성적
- 중년에 시신경병증이 발현된 샤르코-마리-투스병 2A형 환자 증례 1예
- 시신경입체사진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주위위축 넓이의 재현성과 녹내장안 진단의 유용성
- 아메드 방수유출장치 삽입수술과 병합수술의 효과
- 외상성 3, 4, 6번 단독뇌신경마비의 동반손상과 예후
- ZCB00 인공수정체의 부분결합간섭계와 초음파 방식의 술 후 굴절 예측치 차이
- 신경매독과 연관되어 발생한 안매독의 임상 양상
-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임상양상과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 데모덱스 안검염 환자에서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를 이용한 안검 세척의 치료효과
- 간헐외사시에서 1시간 또는 2시간으로 단축한 눈가림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