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Field Test and Multifocal Electroretinogram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정규 장지혜 조영욱,Jeong Kyu Kim, MD, Ji Hye Jang, MD, Young Wook Cho,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5,number2, 202~20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macular function by a multifocal electroretinogram (mfERG)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DR),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responses of mfERG and the threshold of the visual field test (VF). Methods: The records of patients with DR (16 eyes, 16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14 eyes, 14 subjec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fERG and VF were divided into Ring 1, Ring 2 and Ring 3 at 6-degree intervals from the central macul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plitude/peak time and the threshold of each ring was analyzed. Results: In patients with DR, the amplitude was decreased in all areas, the peak time was delayed in Ring 2 and the threshold was decreased in Rings 2 and 3,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The amplitude of mfERG and the threshold of V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Rings 2 and 3 (p < 0.05). The peak time of mfERG and the threshold of V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in Ring 3 (p < 0.05). Conclusions: The threshold of VF was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plitude than with the peak time of mfERG in patients with DR. mfERG and VF were useful tests to assess the macular function, and alteration of macular function was early detected because two test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2):202-208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빛간섭단층촬영에 따른 당뇨황반부종의 형태학적 분류와 치료 후 임상경과
- 각막굴절교정 술 후 비접촉성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저평가 정도
- 인공수정체 탈구에서 수술방법의 차이에 따른 술 후 결과 비교
- 인공수정체 도수 산출 공식간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리바운드 안압계를 이용한 트렌델렌버그 자세에서의 안압 변화의 측정
- 직난시 및 도난시에 따른 동축 소절개 백내장 수술의 난시와 고위수차의 비교분석
- 베바시주맙 안내주사가 망막혈관직경, 안압, 망막신경섬유층 및 시신경에 미치는 영향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황반 허혈과 조기치료가 시력 예후에 미치는 영향
- 건강한 여아에서 발생한 황반부를 침범한 급성 망막분지동맥폐쇄 1예
- 조대술을 이용한 결막 봉입 낭종의 치료 1예
- 무색 인공수정체렌즈안과 광변색 인공수정체안에서의 수술 전후 스트레이라이트의 비교
- 단안 분지망막정맥폐쇄 환자의 무증상 반대안에서 안구관류압의 일중변동
- 비굴절조절내사시 환자의 조절눈모음비
- 에를로티닙과 라파티닙을 사용한 환자에서 발생한 표층점상각막병증
- 케토티펜과 올로파타딘로 농도에 따른 인간 제대혈 유래 비만세포의 안정화 평가
- 한국인 연소성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의 장기 성적
- 외상성 맥락막 파열 이후 오랜 시간 경과 후 발생한 전층 황반원공 1예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황반원공: 예방이 가능한가?
- 기체망막유착술 후 발생한 고르도니 연쇄구균 안내염
- 플릭텐각막염 환자에서 발생한 각막 천공
-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시야검사와 다국소망막전위도 검사의 상관관계
- 복시를 주소로 내원한 에드하임-체스터병 1예
- 황반부를 침범한 뎅기열 1예
- 발달장애아에서 안과질환의 임상양상
- 영아내사시에서 술 후 장기관찰상 양호한 양안시를 기대하려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급성폐쇄각녹내장에서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속발내사시 예방목적의 내외직근 동시 후전: 탐색적 증례군 연구
-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맥락막박리 및 전방소실의 위험인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