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절반에너지 광역학치료와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12개월간 치료효과 비교
이용수 5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rapeutic Effect Between Half-Energy Photodynamic Therapy and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n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for 12 Month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영승 이영훈 김형석 진선영 이태곤,Young Seung Kim, MD, Young Hoon Lee, MD, Hyoung Seok Kim, MD,Sun Young Jin, MD, Tae Gon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10, 1526~153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between half energy photodynamic therapy (PDT) and intravitreal bevacizumab (IVB) injection for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Methods: Forty-five eyes of 42 patients diagnosed as chronic CSC from March 2008 to April 2011 were treated with half energy PDT or IVB injection. The subjects were chosen for a retrospective study and analysis was performed on chang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existence of subretinal fluid, recurrence rate and changes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Results: Similar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was observed in both treatment groups 1 month after treatment and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each stage for both groups (p = 0.001, p = 0.0012, respectively). However, 6 to 12 months after the treatment, the half energy PDT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compared to the IVB injection group (p = 0.019, p = 0.043, respectively). Nineteen out of 21 cases showed full recovery of subretinal fluid in the half energy PDT group with an average treatment period of 1.3 ± 0.8 months and 7 out of 24 cases showed full recovery in the IVB injection group with an average treatment period of 3.2 ± 2.8 months. There was a single case of recurrence in the half energy PDT group and 4 in the IVB injection group. The half energy PDT group showed a meaningful decline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at 1, 3, and 6 months after treatment (p = 0.001, p = 0.005, p = 0.00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VB injection group and showed numerous cases with decline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below the 2 standard deviation from normal values (p = 0.002). Conclusions: Both half energy PDT and IVB injection wer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However, the half energy PDT group comparatively showed better anatomical and functional outcomes. The thinning of central macular thickness below normal value was also observed, thus careful choice of treatment is necessary for patients with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녹내장환자의 안압하강제 점안 행태 분석
- 개방형고리를 이용한 수정체전낭 원형절개술의 유용성
- 산소유발망막병증 쥐 모델에서 커큐민의 효과
- 안와에 생긴 악성 고립성 섬유종
- 만성 누소관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 간암 환자에서 방종양성 증후군으로 발생한 시신경척수염 1예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로 호전된 임신 중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1예
- 신생혈관녹내장이 동반된 유리체강내 유구낭충증 1예
- 원발성 콩다래끼 환자에서 병소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요법과 절개배농술의 치료 효과 비교
- 아래눈꺼풀의 이소성 눈물샘에서 발생한 다형성 샘종 1예
-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반대안의 새로운 신생혈관 발생 빈도
- 초음파유화술 중 각막의 건조를 막기 위한 점탄물질 도포와 평형염용액 관류의 비교
- 백내장수술 후 각막 천공 및 인공수정체 탈출을 보인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안내염 1예
- 유리체절제술을 받은 눈에서 발생한 황반원공의 자연폐쇄 1예
- 양안에 발생한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 1예
- 라섹과 M-라섹 후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 백내장 수술 후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나타나는 시신경 지표 변화
- 안외상으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무수정체안에서 이차인공수정체삽입술의 임상 성적
- 삼출성 노인황반변성에 대한 치료 후 발생한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임상결과
- 2.2 mm 미세각막절개 백내장수술 시 회전진동방식 초음파유화술과 직선운동방식 초음파유화술을 이용한 임상결과 비교
-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절반에너지 광역학치료와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12개월간 치료효과 비교
- 녹내장환자에서 양안 이스터만 시야검사 결과와 삶의 질과의 연관성
-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내 혈관내피성장인자억제제 주입술 후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위험인자
- 당뇨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과 베바시주맙 안내주입술이 맥락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잠복 맥락막신생혈관을 동반한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베바시주맙 단독치료와 광역학요법 병합치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