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섹과 M-라섹 후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이용수 15
- 영문명
- Corneal Endothelial Cell Changes after LASEK and M-LASEK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승재 이담호 경학수,Seung Jae Lee, MD, Damho Lee, MD, PhD, Haksu Kyung,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10, 1501~150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s in the corneal endothelial cell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mong myopes in the M-LASEK group, on whom 0.02% mitomycin C (MMC) was used and in the LASEK group, on whom MMC was not used. Methods: The corneal endothelial cell analysis was performed in 104 eyes of 57 subjects in the LASEK group and in 86 eyes of 48 subjects in the M-LASEK group before the operation, and 3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CD), the cell area coefficient of variance (CV), and hexagonal cell rate (6A) between the 2 groups before the operation, and 3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p > 0.05). In the LASEK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CD when the numerical values before the operation and 3 months and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were compared,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V and 6A when comparing before the operation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p = 0.001, p = 0.034, respectively). In the M- LASEK group, there was a 2.8%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 = 0.004) in CD when the numerical values before the operation and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were compar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when the numerical values before the operation and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CV and 6A when the numerical values before the operation and 3 months and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were compared. Conclusions: M-LASEK, contrary to LASE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D in short-term results such as 3 months postoperatively, but in long-term observation such as 12 months postoperatively, both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녹내장환자의 안압하강제 점안 행태 분석
- 개방형고리를 이용한 수정체전낭 원형절개술의 유용성
- 산소유발망막병증 쥐 모델에서 커큐민의 효과
- 안와에 생긴 악성 고립성 섬유종
- 만성 누소관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 간암 환자에서 방종양성 증후군으로 발생한 시신경척수염 1예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로 호전된 임신 중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1예
- 신생혈관녹내장이 동반된 유리체강내 유구낭충증 1예
- 원발성 콩다래끼 환자에서 병소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요법과 절개배농술의 치료 효과 비교
- 아래눈꺼풀의 이소성 눈물샘에서 발생한 다형성 샘종 1예
-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반대안의 새로운 신생혈관 발생 빈도
- 초음파유화술 중 각막의 건조를 막기 위한 점탄물질 도포와 평형염용액 관류의 비교
- 백내장수술 후 각막 천공 및 인공수정체 탈출을 보인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안내염 1예
- 유리체절제술을 받은 눈에서 발생한 황반원공의 자연폐쇄 1예
- 양안에 발생한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 1예
- 라섹과 M-라섹 후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 백내장 수술 후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나타나는 시신경 지표 변화
- 안외상으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무수정체안에서 이차인공수정체삽입술의 임상 성적
- 삼출성 노인황반변성에 대한 치료 후 발생한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임상결과
- 2.2 mm 미세각막절개 백내장수술 시 회전진동방식 초음파유화술과 직선운동방식 초음파유화술을 이용한 임상결과 비교
-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절반에너지 광역학치료와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12개월간 치료효과 비교
- 녹내장환자에서 양안 이스터만 시야검사 결과와 삶의 질과의 연관성
-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내 혈관내피성장인자억제제 주입술 후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위험인자
- 당뇨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과 베바시주맙 안내주입술이 맥락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
- 잠복 맥락막신생혈관을 동반한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베바시주맙 단독치료와 광역학요법 병합치료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