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Outcomes of the Surgical Management with Dislocated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종훈 이지은 엄부섭,Jong Hoon Shin, MD, Ji Eun Lee, MD, PhD, Boo Sup Oum,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3, 420~42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dislocation of an intraocular lens (IOL). Method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toperative naked visual acuity, corrected visual acuity, astigmatism,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 minimum follow-up of 1 month after the surgical treatment of a dislocated posterior chamber IOL. Results: The study included 48 eyes of 48 patients (32 males and 16 females) with an age ranging from 33 to 76 years with a mean of 56.7 years at initial visit. The mean time interval from cataract extraction and IOL implantation to dislocation of IOL was 4.9 years. The IOL was exchanged in 13 eyes and was repositioned in 35 eyes. The IOL was repositioned without tying in 11 eyes, by scleral fixation with tying inside the eye in 10 eyes, and by scleral fixation with tying outside the eyeball in 14 eyes. The mean naked visual acuity improved from 1.21 ± 0.70 to 0.70 ± 0.48 (p = 0.001) and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significantly from 0.82 ± 0.68 to 0.35 ± 0.30 (p = 0.002). Among the repositioned IOLs managed by IOL repositioning using scleral fixation with tying inside the eye, 4 eyes re-dislocated. These eyes were re-treated for a second time with IOL repositioning and scleral fixation with tying outside the eye. Conclusions: Surgical management of dislocated IOLs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Scleral fixation with tying inside the eye had a high risk of re-dislocation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tightly securing the knot.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3):420-427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발성 망막전막의 유리체 절제술 후 시력과 망막두께의 장기변화 관찰
- 백내장 수술 후 생긴 낭포황반부종에서의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일차치료 효과
- 두 가지 다른 절개 방법의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 입원치료를 시행한 세균각막염에 대한 12년간의 분석: 원인균주와 항생제내성
- 사시 환자의 수술 전 기대와 두려움 및 술 후 일상생활로의 복귀 과정에 관한 연구
- 후방인공수정체 위치이상의 수술적 처치에 대한 임상 결과
- 히알루론 산을 이용한 비수술적 눈꺼풀 위치 이상의 치료효과
- 데스메막박리 자동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발생한 단순포진바이러스 각막염 1예
- 고도근시에서 스무딩을 병용한 고등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Advanced Surface Ablation)의 임상성적
- 전층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고안압증 환자에서 이식 실패로 이행하는 위험인자
- 눈운동장애 없이 시력 저하를 보인 해면정맥동 내경동맥류 1예
- 속발내사시 수술 전후 임상경과
- 외상으로 인한 안구 내 금속이물 처치에 대한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분석
-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적 단기 임상 결과
- 수정체낭원형절개 확장이 백내장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회전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특발성 작은 동공 1예
- 익상편조직의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사이클로스포린의 영향
- 얼렌증후군 환자들에서의 색조렌즈를 통한 난독 개선 효과
- 통원 백내장 수술 후 개별 교육이 불안과 자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재발 미만성 거대세포 림프종의 직접 침범에 의한 단독 눈돌림신경마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급성폐쇄각녹내장에서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속발내사시 예방목적의 내외직근 동시 후전: 탐색적 증례군 연구
-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맥락막박리 및 전방소실의 위험인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