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sults of Nation-Wide Registry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규형 송수정 이원기 윤희성 고형준 김철구 김윤영 강세웅 김하경 이병로 남동흔 이필영 김형수 김형찬 김시열 정인영 김광수 허걸 오재령 김신동 이상준 김영덕 김순현 이태곤 조성원 이동초 장무환 김시동 조영욱 배선량 이주은 엄부섭 윤일한 권순일 강재훈 김종인 문상웅 유형곤 윤영희 장광열 이성철 이성진 박태관 온영훈 권오웅 장우혁 양연식 이석준 이수영외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4, 516~52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in Korea Methods: Web-based (www.armd-nova.or.kr) registration was conducted for AMD patients aged 50 or more who were newly diagnosed by retinal specialists in Korea from August 20, 2005 to August 20, 2006. Patient data including ophthalmologic examination, fundus photography, fluorescein angiogram and/or indocyanin green angiogram (ICG), past medical history, behavioral habit, combined systemic diseases were up-loaded. Results: Among finally enrolled 1,141 newly diagnosed AMD patients, 690 patients (60.5%) were male and 451 patients (39.5%) were female. The average age of AMD patients was 69.7±8.0. Early AMD was observed in 190 patients and 951 patients had late AMD. Classic choroidal neovascular membrane (CNVM) was observed in 18.6% of exudative AMD patients and 63.4 % had occult CNVM. Subfoveal CNVM was observed in 80.4% of the patients with CNVM. Among the 580 exudative AMD eyes that performed indocyanin green angiography (ICG), 184 eyes (31.7%) had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and 36 eyes (6.2%) showed 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Age, male gender, smok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the AMD among Koreans. Conclusions: Because of the low rate of participation by retinal specialists, definite incidence of AMD was not obtainable. However, the estimated 1-year AMD incidence in the Pusan area of Korea is at least 0.4%. In contrast to Western people, 31.7% of exudative AMD cases were revealed to be PCV and 6.2% were revealed to be RAP. This discrepancy between ethnic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modality selection of Korean AMD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4):516-523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의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기초역학조사
- 간헐외사시에서 수평 직근 수술 후 각막난시 및 굴절률의 변화
- 백내장 수술 중 투명각막절개창 크기를 이용한 각막난시교정
- 난치성 봄철각결막염에서 유두절제술과 상안검판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동시 치료 효과
- 정상안에서의 다국소시유발전위
- 정상안 및 황반 질환에서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3D-OCT 1000)의 황반 두께 및 부피 반복성
- 황반박리가 동반된 열공망막박리 수술 후 선택적초시력시야계를 이용한 변형시의 분석
- 공막연화증에 대하여 조직접합제를 이용한 동종공막이식술과 양막이식술의 임상성적
- 황반부를 침범한 망막박리에서 술 후 중심와박리의 재유착 및 시력예후
- 지방 안와감압술의 장기적 임상 결과
- 공막 이식 후 발생한 푸사륨 심부 각막염 1예
-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 사용되는 드릴의 비교
- 눈물 흘림을 호소하는 결막이완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서 파이브린 글루의 유용성
- 섬유주절제술 후 생체 분해성 콜라겐 기질의 섬유성 피막형성 1예
- 클라미디아 시타시에 의한 비전형 유두 각결막염 1예
- 안와에 발생한 결막 유피낭종 1예
- 포도막염에 의한 이차개방각녹내장에서 마이토마이신 섬유주절제술과 아메드밸브삽입술의 임상성적
- 한국인 망막모세포종의 발생률(1991~1993)과 생존율(1991-2003) 보고
- 콘택트렌즈 착용시 사용하는 인공누액이 인체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플라스모디움 바이박스 말라리아로 인한 양안 망막출혈 1예
- 눈물언덕의 호산성 과립세포종 1예
- 망막밑종괴로 오인하였던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 의한 망막밑혈종 1예
- 난치성 신생혈관 녹내장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과 구후 트리암시놀론 동시 주사 효과
- 코우츠병 환자에서 레이저광응고술 시행 후 자연 치유된 황반 망막 전막 1예
- 전층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감염성 각막염의 임상양상 및 위험인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Sage Transmits His Mandate”: A Study on the Concept of “Mandate” in Wang Anshi's Yijing Thought
-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In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Modernity Theory
- Research on Digital Construction and Sharing Mechanism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sources under the Empowerment of Digital Intellig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