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야결손전녹내장환자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토탈데비에이션과 주파수배가시야검사의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Total Deviation of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and Matrix FDT in Preperimetric Glaucoma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정훈 박인원 정윤석,Jeong Hoon Choi, MD, In Won Park, MD, Yun Suk Chu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2, 220~22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of total deviation (TD) as measured b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SAP) and measured with of Matrix Frequency-doubling Technology (FDT) in patients with preperimetric glaucoma. Methods: Fifty-two eyes of 52 patients with preperimetric glaucoma were included. Subjects were examined with Matrix FDT and Strat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the results of each examination were analyzed. The proportions of abnormal results in SAP TD, Matrix TD, and Matrix pattern deviation (PD) were calculated. Among the results of tests, the following correlations were evaluated: SAP TD and Matrix, and visual fields and OC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RNFL) according to the result of SAP TD in preperimetric patients with abnormal Matrix PD were analyzed. Results: A abnormalities in SAP TD, Matrix TD and Matrix PD were found in 22 (42.3%), 34 (65.4%), 41 (78.9%) eyes, respectively. There was marginal correlation between SAP TD and Matrix PD (p=0.07).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AP TD and OCT, although Matrix PD and OCT did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In preperimetric patients with abnormal Matrix PD, RNF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bnormal SAP TD group than in the normal SAP TD group on average, in the superior quadrant, and at the 12 o’clock and 5 o’clock positions (p<0.05).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preperimetric glaucoma, 42.3% and 78.9% had glaucomatous VF defects in SAP TD and Matrix PD,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higher than expected, especially those of SAP TD.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2):220-226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안부 광간섭 단층촬영을 이용한 여과포의 형태학적 분석: 사전 연구
- 아르곤레이저광응고술과 결막하 및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로 억제된 각막 후막
-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에 대한 고찰
- 눈근육마비편두통 3예
- 당뇨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의 정확성 비교
- 안내 이물 제거의 접근방식에 대한 비교
- 단안상전장애에 동반된 눈꺼풀처짐에서 눈꺼풀올림근을 이용한 이마근걸이술 1예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항대사제를 병용한 아메드 장치 삽입술의 수술 성공률 평가
- 망막생검으로 확진된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 1예
- 순수소안구증에 동반된 급성폐쇄각녹내장 1예
- 시야결손전녹내장환자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토탈데비에이션과 주파수배가시야검사의 비교
- 접형동, 사골동의 비강형 자연살해/T 세포 림프종에 의한 안와첨증후군 1예
-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혈액검사를 통한 전신적 인자에 대한 분석
- 정상인에서 이중 샤임플러그 전안부사진기로 측정한 각막윤부직경과 전방 깊이
- 비내시경 누낭비강연결술에서 히알루론산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혼합액의 효과
- 바골리니렌즈검사와 워트4등 및 원거리입체시검사간의 연관성과 이에 따른 간헐외사시의 수술 결과
- 굴절교정술 후 백내장 수술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법 비교
- 해리수직편위에 대한 상직근재후전술
- 초기 정상안압녹내장과 초기 원발개방각녹내장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비교
-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포도당이 반응성산소종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당뇨황반부종의 빛간섭단층촬영 분류에 따른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과 베바시주맙의 효과 비교
- 학동기 약시 환아에서 부분 가림치료와 간헐적 아트로핀 처벌치료의 비교
-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치요법이 안구건조증상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연구보고
- 안부 대상포진의 임상양상
- 전방깊이와 안축장에 따른 인공수정체 삽입 후 굴절 오차의 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