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큰 망막색소상피 박리를 동반한 맥락막혈관신생에서의 복합치료
이용수 0
- 영문명
- Combination Treatment for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ssociated With Large Retinal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류정완 정재훈 이원기,Jung-Wan Ryu, MD, Jae-Hun Jung, MD, Won-Ki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0,number6, 877~88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combination therap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photodynamic therapy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large retinal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Methods: A total of 13 eyes were reviewed, with 9 eyes diagnosed with definite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and 4 eyes diagnosed with CNV or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becausethe exact type could not be determined. Photodynamic therapy was performed within 1 week after bevacizumab injection according to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ICGA). Additional bevacizumab injections were performed within a 4 to 6 week interval. Additional photodynamic therapy was performed within 4 months. Results: The visual acuity on final examination had improved in 3 eyes (23.1%), was maintained in 7 eyes (53.8%), and decreased in 3 eyes (23.1%). The change of the P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showed regression in 5 eyes (38.5%), recurrence after regression in 2 eyes (15.4%), persistence in 4 eyes (30.8%), and retinal pigment epithelial tear in 2 eyes (15.4%). The maintained or improved visual acuity rate was 66.7% (6/9) and 100% (4/4) in the CNV and CNV or PCV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ombination therapy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associated with large retinal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is a viable alternative treatment in the stabilization and improvement of vision.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long-term follow up and controlled studies with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body monotherapy are required.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6):877-886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산화질소가 R28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망막박리 수술 후 발생한 척골신경병증 1예
- 난시교정용 후방 유수정체 안내렌즈 삽입술의 단기간 임상성적
- 형제자매에서 발생한 사시의 치료 경과
- 경부 및 상부흉곽 술기 후 발생한 의인성 호르너증후군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Rifabutin에 의한 포도막염 1예
- 알코올 중독 및 영양 섭취 부족과 관련하여 발생한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시신경 병증 1예
- 아만타딘에 의한 각막부종 1예
- 듀안안구후퇴증후군의 수술결과 분석
- 스마트 눈물점마개 삽입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하여 얻어진 지표를 이용한 녹내장의 판별
- 큰 망막색소상피 박리를 동반한 맥락막혈관신생에서의 복합치료
- 실리콘기름 제거 후 발생한 망막박리
-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후 임상 결과
- 골드만과 험프리 동적시야검사에 따른 정상시야의 비교
- 선천성 코눈물관 폐쇄증의 임상양상과 치료
- 모양체 기원의 흑색세포종 1예
- 수직경선을 가로지르는 양안 기능성 이측반맹 1예
- 토끼 눈에서 플라스민과 히알루론산분해효소의 약리적 유리체융해능력 비교
- 내인성 안내염의 예후 인자
- 미용콘택트렌즈와 관련된 합병증 9예
- 당뇨망막병증에서 범망막광응고술 후 발생하는 시력 감소에 대한 트리암시놀론 후테논낭하주입술의 예방효과
- 213 nm 솔리드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의 단기임상결과
- 구결막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 비구면 인공수정체와 구면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경사도 및 전방깊이의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