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구면 인공수정체와 구면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경사도 및 전방깊이의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Decentration, Tilt and Anterior Chamber Depth: Aspheric vs Spheric Acrylic Intraocular Len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자영 이승희 정성근,Ja Young Lee, MD, Seung Hee Lee, MD, Sung Kun Chu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0,number6, 852~85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decentration, tilt and anterior chamber depth between aspheric AcrySofⓇ IQ IOL (SN60WF) and spheric AcrySofⓇ Natural IOL (SN60A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2 patients (26 eyes) using an aspheric AcrySofⓇ IQ IOL and 26 patients (31 eyes) using spheric AcrySofⓇ Natural IOL. All lenses were inserted into the capsular bag after 5 mm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and phacoemulsification. The decentration, tilt and anterior chamber depth of both IOLs were measured on the 1st, 30th and 60th postoperative day using an anterior eye segment analysis system (Scheimpflug camera, EAS-1000, Nidek, Japan).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centration between the IQ IOL and Natural IOL on the 1st (p=0.05), 30th (p=0.09) and 60th (p=0.06) postoperative da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ilt between IQ IOL and Natural IOL on the 1st (p=0.000053) and 30th (p=0.018) postoperative da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ilt on the 60th postoperative day (p=0.05). The anterior chamber depth of IQ IOL was decreased,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1st (p=0.10), 30th (p=0.07) or 60th (p=0.06) postoperative day.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rySofⓇ IQ IOL and AcrySofⓇ Natural IOL in decentration, tilt or anterior chamber depth, showing that posterior aspheric surface causes little effect on the IOL stabil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산화질소가 R28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망막박리 수술 후 발생한 척골신경병증 1예
- 난시교정용 후방 유수정체 안내렌즈 삽입술의 단기간 임상성적
- 형제자매에서 발생한 사시의 치료 경과
- 경부 및 상부흉곽 술기 후 발생한 의인성 호르너증후군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Rifabutin에 의한 포도막염 1예
- 알코올 중독 및 영양 섭취 부족과 관련하여 발생한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시신경 병증 1예
- 아만타딘에 의한 각막부종 1예
- 듀안안구후퇴증후군의 수술결과 분석
- 스마트 눈물점마개 삽입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하여 얻어진 지표를 이용한 녹내장의 판별
- 큰 망막색소상피 박리를 동반한 맥락막혈관신생에서의 복합치료
- 실리콘기름 제거 후 발생한 망막박리
-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후 임상 결과
- 골드만과 험프리 동적시야검사에 따른 정상시야의 비교
- 선천성 코눈물관 폐쇄증의 임상양상과 치료
- 모양체 기원의 흑색세포종 1예
- 수직경선을 가로지르는 양안 기능성 이측반맹 1예
- 토끼 눈에서 플라스민과 히알루론산분해효소의 약리적 유리체융해능력 비교
- 내인성 안내염의 예후 인자
- 미용콘택트렌즈와 관련된 합병증 9예
- 당뇨망막병증에서 범망막광응고술 후 발생하는 시력 감소에 대한 트리암시놀론 후테논낭하주입술의 예방효과
- 213 nm 솔리드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의 단기임상결과
- 구결막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 비구면 인공수정체와 구면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경사도 및 전방깊이의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