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정현주 정희선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6권 제2호, 83~10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대통령 집권기별 대북정책의 기조와 남북관계, 그리고 대북인식의 변화라는 맥락 속에서 국내
분단영화 속 장소 재현의 다양화ㆍ유연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남북교류가 제한적이었던 김영삼 대통령 집권기의
분단영화에서는 6ㆍ25 전쟁기의 민간인 촌락을 배경으로 하여 전쟁의 비극성을 강조하였다. 대북포용정책이 전
개되었던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 집권기에는 분단의 상황에서도 남과 북의 인물이 시간적ㆍ공간적 제약
없이 조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에피소드와 인간애를 비롯한 감정적인 교류를 주요 소재로 다루었다. 이명박 대통
령 집권기 이후로는 북한의 도시, 정치범수용소, 북중 접경지역의 경관 묘사를 통해 북한 체제의 비합리성과 지배
권력의 비인간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고, 남파첩보원과 북한이탈주민을 빈민촌, 재개발지역, 고시원, 흥신소 등의
공간적 배경에 등장시켜 남한사회에서 북한 출신인의 타자성을 상징하였다. 분단영화에 재현된 정치적 담론과 장
소 재현의 특징이 시기별 남북관계의 변화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상업성, 작품성, 복합장르 등에 따라 나타나는 개
별 영화 속 장소 재현의 고유성과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작품을 중심으로 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fication and flexibilization of representing places in films about the
national division in the context of the changes in South Korea’s policies towards North Korea and in inter-Korean
relations based on the period of each president in power. Under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e films about the
national division emphasized the tragedy of war. While Presidents Kim Dae-jung and Roh Moo-hyun were in power,
the films depicted possible episodes and emotional interactions from the situations where people from the two Koreas
happen to encounter. Under Lee Myung-bak administration, films emphasized the instability of the political system
of North Korea and inhumane personalities of North Korean leaders. As agents and refugees from North Korea
started appearing in movies as main characters, they were described in such places and landscapes as slums, rentalhouses, and redevelopment areas in Seoul, maximiz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North Korean characters
marginalized in South Korea. Although the films about the national division is generally in accordance with the inter-
Korean relationships, further in-depth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wor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rketability, artistic quality, and sub-genres.
목차
1. 머리말
2. 이데올로기의 표상화: 분단영화의 개념과 특성
3. 대통령 집권기에 따른 대북정책과 남북 관계의 변화
4. 분단영화 속 장소 재현의 다원화
5. 맺음말
註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일제강점기 지정면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 공주군 공주면을 중심으로
- 조선왕조 태실과 태봉 관련 지명의 공간적 분포와 변천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고찰
- 기전문화연구 제46권 제1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