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の聚落』(1935)을 통해 본 한국 宗族村落의 기원과 분포

이용수  550

영문명
A Study on Origin and Distribution of Lineage Settlements in Korea Reported on 『朝鮮の聚落』(Settlements of Joseon, 1935)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전종한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6권 제2호, 63~82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최초의 근대적 촌락 보고서인 『朝鮮の聚落』(1935)을 통해 우리 나라 종족촌락의 기원과 분포 특징을 탐구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일본인 기록자들은 한국의 宗族村落을 일본식 용어인 同族部落으로 바꾸어 호칭하면서 한반도의 이른바 ‘저명 동족부락’을 조사 항목으로 규정한 다음, 그 소재 지, 인구 규모, 성씨별 비중, 마을의 기원 시기, 마을이 형성된 유래 등에 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이고도 광범위하게 탐문하여 수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촌락에 임하던 당시 조사자의 인식과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朝鮮の聚落』(1935)에 대한 해제를 시도하였고, 이 보고서에 수록된 종족촌락에 관한 공간 정보와 속성 정보들 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도로 표현해 보았다. 연구자는 이들 주제도에 나타난 여러 가지 공간적 단서들을 통해 우 리나라 종족촌락의 기원 시기, 형성 배경, 분포 특징 등에 관한 부분적 해명을 시도하는 한편, 이와 관련된 후속적 탐구 주제들을 제안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lineage settlements in Korea reported on 『朝鮮の 聚落』(settlements of Joseon, 1935) which is the first volume of nation-wide collection and modern-systematic composition in Korea. 『朝鮮の聚落』has some limits in that it uses the term Dongjok Burak(Japanese Settlement of the same family) in place of Jongjok Chollak(Korean lineage settlements) as a key concepts. But, it is of considerable merits in that such information as sites, population, origin and formation processes of lineage settlement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reported in the volume are relatively systematic and objective because those are obtained based on empirical survey. The author presents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n that volume ahead, and then makes thematic map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which the volume gathered. Being based on the spatial clues in these maps, the author tries to elucidat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and distribution, formation processes of lineage settlements in Korea on the one hand, and proposes themes waiting researches on theother hand.

목차

1. 머리말
2. 자료 해제: 『朝鮮の聚落』(善生永助, 1935,朝鮮總督府)
3. 宗族村落의 기원 시기와 형성 배경
4. 宗族村落의 지역적 분포 특징
5. 맺음말
사 사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한. (2014).『朝鮮の聚落』(1935)을 통해 본 한국 宗族村落의 기원과 분포. 문화역사지리, 26 (2), 63-82

MLA

전종한. "『朝鮮の聚落』(1935)을 통해 본 한국 宗族村落의 기원과 분포." 문화역사지리, 26.2(2014): 6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