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이용수 140
- 영문명
- Action for Damages resulting from "Wrongful Life" and the Responsi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Focusing on Issues around the Crisis of Human Dignit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wa Shin Ryo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3호, 309~3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선천성 장애아의 '원치 않은 삶' 소송에 관한 연구이다. 원치 않은 삶 소송은 원고(장애아)가 (의사를 상대로) 선천성 장애를 갖고 태어날 가능성을 부모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과실로 인해 자신이 장애를 갖고 출생하게 되었다는 것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소송이다. 이 소송의 특징은 원고가 장애를 갖고 출생한 것이 인공임신중절로 출생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손해라고 주장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치 않은 아이'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소송의 유래와 정의를 살펴보고, 손해 및 손해액 평가의 문제를 인간 존엄과 가치의 침해 여부와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관련 국내 판례와 프랑스의 페르쉐(Perruche) 사건과 같은 외국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의사의 과실이 존재하는 한 원치 않은 삶 소송을 인정하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산전 진단의 목적과 장애아의 인간 존엄 및 복지 증진을 위해 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때 손해배상책임의 대상이 되는 손해는 부모의 낙태결정권의 침해로 인하여 장애를 동반한 출생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bout ' "Wrongful Life" torts. In a suit for 'wrongful life', the plaintiff(usually an infant) brings an action(usually against a physician) claiming that some negligent action has caused the plaintiff's life, say by not informing the parents of the likely prospect that their child would be born with severe defects. The most perplexing feature of this is that the plaintiff is claiming that he would have been better off if he had never been born. A number of arguments have appeared which purport to show that 'wrongful life' claims should not be allowed, either because it is senseless to claim that one would be better off if one had not existed or that it is impossible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someone has been damaged by being brought into existence. This paper investigated various cases in which 'Unwanted child' can be born, and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lawsuits for 'wrongful life', reviewing the issues about the damage and its evaluation in terms of human dignity and values viola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원치 않은 아이' 의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의 정의
Ⅲ. 오늘날 '원치 않은 삶' 소송에서의 의료과오책임 논쟁
Ⅳ. 프랑스의 '원치 않은 삶 소송', 세칭 "페르쉐(Perruche) 사건"의 검토
Ⅴ. 나오며: 원치 않는 삶 소송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청소년과 의원을 방문한 호흡기질환 환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유형에 따른 소진평가
-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직종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
- 공공갈등 상황에서 문화성향, 갈등인식과 조정유형이 협력의지에 미치는 영향
-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 안전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가?
- 미국 담배 제품 규제 현황 및 고찰
- 국내 거주 외국인의 재난안전 취약성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초등학생의 우울과 영향요인
- 한국의 공동규제(co-regulation) 효과성의 영향요인과 발전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공교육과의 공존
- 협동조합을 활용한 사회안전망 구축 가능성 모색
- 사면재해 방지를 위한 스프링 낙석방지울타리의 거동 해석
-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정책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국가위기관리의 실패와 그 구조적 원인
- 여자 중학생의 통합성과 우울 영향요인
- 인터넷저작물의 주권 행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