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
이용수 269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Police Officer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eung Woo Han Hee So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3호, 189~2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외상사건 경험, 자존감 ,스트레스대처 능력과 스트레스 반응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경찰공무원들의 외상후 성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제공과 함께 의사소통을 증진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서면 동의한 경찰공무원 171명이었다. 외상후 성장, 외상사건 경험, 자존감 ,스트레스 대처,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여 2014년 8월 18일 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성장은 성별에서 여성, 종교 유무에서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은 평균 57.7(±14.88)점, 자존감은 36.0(±4.55)점, 스트레스 대처에서 문제중심적 스트레스대처는 평균 18.2(±2.70)점이었으며, 정서중심적 스트레스대처는 26.1(±3.23)점, 스트레스 반응에서 신체화 반응 12.4(±7.06)점, 우울8.9(±6.06)점, 분노반응은 7.4(±4.54)점이었다. 외상후 성장과 자존감,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는 유의한 정상관으로 나타났고(p<.001),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중심 대처가 가장높게 나타났고(ß=.35, p<.001), 성별(여자)(ß=.24, p<.001) 및 자존감 이였으며(ß=.23, p=.002), 이들 변수의 외상후 성장에 대한 설명력은 24%였다. 따라서 경찰공무원들이 스트레스에 대해 정서중심적 대처 및 자존감이 높고 성별이 여성일수록 외상후 성장 정도가 높음으로 평상시 스트레스에 정서중심적 대처방법과 효율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익히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으며 자존감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 그리고 성별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police officer. Methods: The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18 to 31, 2014 from 171 the police officers of section in charge of violent crime and detective in ten different police offices in seoul. The variables were assessed by research tool of post-traumatic growth, traumatic event experience, self-esteem, stress coping method, stress response. The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zed with the SPSS 12.0 program. Result: Post-traumatic grow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emale police officer and having a relig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emotion and problem focused coping.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were emotion focused coping, female police officer and self-esteem, accounting for 24% of the varience in the outcom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and improve stress coping method.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will have to be supported by the systematic metho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청소년과 의원을 방문한 호흡기질환 환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유형에 따른 소진평가
-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직종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
- 공공갈등 상황에서 문화성향, 갈등인식과 조정유형이 협력의지에 미치는 영향
-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 안전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가?
- 미국 담배 제품 규제 현황 및 고찰
- 국내 거주 외국인의 재난안전 취약성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초등학생의 우울과 영향요인
- 한국의 공동규제(co-regulation) 효과성의 영향요인과 발전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공교육과의 공존
- 협동조합을 활용한 사회안전망 구축 가능성 모색
- 사면재해 방지를 위한 스프링 낙석방지울타리의 거동 해석
-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정책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국가위기관리의 실패와 그 구조적 원인
- 여자 중학생의 통합성과 우울 영향요인
- 인터넷저작물의 주권 행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