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書藝와 印章藝術의 虛實造形에 關한 考察

이용수  17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전윤성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6호, 154~182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書藝와 印章藝術에 대한 創作의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古代로부터 전해지는 전통적 결구와 장법요소인 虛實, 大小, 奇正, 參差, 闊窄, 向背, 賓主, 開合, 疏密, 斷連 등의 객관적 규율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虛實에 의한 결구, 장법의 대비 변화에 관심을 두고, 그 이치를 터득하고 숙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허실대비에 의한 조형변화를 숙련하는 과정에서 여타의 다른 변화요소와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파악해 조화로운 混融美를 찾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서예와 인장예술은 허실을 비롯한 제반 객관 규율을 통해 천연의 아름다운 조형미를 표현한다는 이치가 한 가지로 통한다. 다만, 인장예술은 작은 印面의 方寸을 통해 朱文과 白文의 分朱布白과 문자조형 표현을 위한 재료와 運用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서예와 인장예술의 공통된 이치에 주목하여 그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유의하였으며, 공통의 다양한 변화 요소 가운데 虛實造形에 着眼하여 이를 세 가지로 함축해 살펴보았다. 茂密整齊한 虛實構成은 모순된 대비형식을 통해 함축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方框을 포함한 점획의 상하좌우 분포가 균제하고 간격이 같아서 정제한 느낌이다. 특히 接筆處의 완전함으로 인해 빽빽한 茂密感을 주고, 결구 내에서 점획의 粗細, 開合, 向背, 曲直 등에 의한 변화로 은은한 허실 조형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印章 또한 印面의 자형을 고르게 분포시켜 정제하게 구성하되, 점획의 미세한 변화를 통해 空間 리듬의 무밀정제한 허실대비의 조형 변화를 조성한다. 潛虛半腹의 虛實構成은 日, 月, 目 등과 같은 방광 내 橫短劃 處理에 대한 문제를 말한다. 좁은 방광 안의 짧은 횡획을 좌우 竪劃과 接筆하지 않고 좌우 모두를 열어 두거나 어느 한 쪽만을 尖接되게 하여 소통하는 방법이다. 이는 좁은 공간의 확장 효과를 통해 영활하고 통쾌한 흐름을 꾀할 수 있는 허실 조형 개념이다. 특히 좁은 인면의 작은 글자에서 공간이 크게 확장되는 시각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인장에서는 방관 내에서의 방법과 印邊을 깨트려 인면 전체를 확장되게 하는 방법이 있고, 또 인변과 인면 자형의 殘缺 처리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黑白對比의 虛實構成은 한 획, 한 자 그리고 한 행, 한 폭을 통해 간결한 글자를 번잡하게 하고, 작은 것을 크게 하는 등 虛虛實實의 선명한 대비 변화 방법이다. 이러한 흑백대비의 허실은 書者의 性情에 따른 主觀的 審美意識과 想像力에 의해 무궁한 변화로 표현된다. 한 자, 한 폭 가운데 흑백의 선명한 대비는 빽빽함의 긴밀감과 빈 공간의 여백미를 동시에 느끼게 하는 특성이 있다. 印章의 흑백대비 변화는 인면이 朱文과 白文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分朱布白의 朱白대비 형식을 형성한다. 朱白으로 대비되는 印文은 簡繁에 따른 粗細變化와 離合에 의한 虛實變化, 屈伸을 통한 인면공간의 留紅과 留白의 대비 분할 등에 의해 造形美는 달리 나타난다. 서예와 인장예술의 허실 조형의 지극한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예로부터 전해지는 명가의 객관적 법도를 깨우치고 사물의 情理에 부합한 허실대비의 조화와 통일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書者의 성정에 의한 심미관을 더하게 되면, 자유롭고 독창적 創新의 서예와 인장예술이 생성될 것이다.

영문 초록

为达到书法和印章艺术的创作自如,必须重视由古代传承下来的传统结句及章法中诸要素——虚实、大小、奇正、参差、阔窄、向背、宾主、开合、疏密和断连等客观规律。特别是对于以虚实为基础的结句、章法的对比变化, 必须要谙熟并掌握其精华。 在认识这种基于虚实对比的造形变化过程中,同时还要努力探明其它变化要素的有机相关联系, 找出其中的谐调的混融美。 书法和印章艺术之绝妙自然造形美,仅以虚实等多种客观规律便能得以实现。只不过在印章艺术方面,要在狭窄的印面方寸上展现朱文和白文的分朱布白以及文字造形,因此在材料和运用上存在着差异。 为此,本文就书法和印章艺术的通用手法,研究其中的聯关性。在众种同类变化要素中,着重对虚实造形进行研究并将其概括为三类。 茂密整齐的虚实构成,以相对立的对比形式来表示含蓄变化。 在包括方框在内的点划中,上下左右分布均齐,且间隔相等,会给人一种 整齐的感觉。特别是完整的接笔处透出致密的茂密感。在结句内,点划的粗细、开合、向背、曲直 等变化还展示隐约的虚实造形美。在印章或者印面上,保持字形分布均匀、构成整齐同时, 再通过点划的细微变化在空间节奏上体现茂密整齐、虚实对比的造形变化。 潜虚半腹的虚实构成,指的是有关形如日、月、目等方框内横短划的处理问题。其方法是在那些狭窄的方框内,短横划跟左右竖划不接笔而使左右边都开启,仅以一边尖接而保持疏通状态。这是运用狭小空间的扩张效果来造势出一个豁达而又痛快的虚实造形手段。 特别是通过狭窄印面上的小字,产生出一种空间被大幅延伸的视觉效果。在印章方面有两种处理方法,一是在方框内打破印边限制而使整个印面延伸,另一是进行印边和印面字形的残缺处理。 黑白对比的虚实构成是通过一划、一字、一行或者一幅的处理将简洁的字变得烦杂、变得庞大等,属于一种虚实鲜明的变化对比方法。这种黑白对比的虚实可随着书写人的性情,以主观的审美意识和想象力来变化无穷无尽地发挥并表达。在一字、一幅中,这种黑白鲜明的对比使人能同时感受到充实的紧密感和空白空间的余白美。 印章的黑白对比变化是在印面上以朱文和白文来表现的, 所以形成了分朱布白的朱白对比形式。以朱白做对比的印文,因简繁而产生粗细变化和離合。这种虚实变化、屈伸的印面空间,其留红和留白的对比、分据等可另现造形美。 为了达到书法和印章艺术的虚实造形之最高境界,要领会自古传承下来的名家们的客观法度,找到符合事物情理的虚实对比谐调和统一。再结合由书写人性情所决定的审美观,就能创造出自由奔放、具备独创创新的书法和印章艺术。

목차

Ⅰ. 序論
Ⅱ. 結構와 章法의 虛實造形 聯關性
1. 書藝
2. 印章藝術
Ⅲ. 虛實造形 構成의 變化要素
1. 茂密整齊의 虛實構成
2. 潛虛半腹의 虛實構成
3. 黑白對比의 虛實構成
Ⅳ.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윤성. (2015).書藝와 印章藝術의 虛實造形에 關한 考察. 서예학연구, (26), 154-182

MLA

전윤성. "書藝와 印章藝術의 虛實造形에 關한 考察." 서예학연구, .26(2015): 154-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