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 경제개발 정책변화가 우리 나라 지역사회 경제개발에 주는 정책적 함의
이용수 16
- 영문명
-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f the USA Local Governments and its lmplication to Korean Local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이성(Sung Lee)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7권 2호, 377~39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by investigating the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of the USA local governments. Those policies can be segmented to first wave(1950s-1970s), second wave(1980s), and third wave(1990s) of development policy. First two policies entailed some expense to community residents by providing low tax rates, tax abatement, tax reliefs, industrial revenue bonds, and direct state loans for potential companies. These policies brought 'clawback' and 'drawbacks' to the local residents. The third wave of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cludes capital market programs(predominantly government-financed loan programs and government support for predominantly privately financed loan or equity programs),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for small business in the communities, supporting small business by providing high technology and research, and export assistance-providing information/training opportunity how to export, sending trade missions, and export financing.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in Korea should learn the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administrated by the USA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y can avoid the potential try-and-errors in establishing, planning, and administrating their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목차
Summary
Ⅰ. 서론
Ⅱ. 개발주의 시대와 세계화ㆍ지방화 시대의 지역개발의 특정
Ⅲ. 미국의 지역사회 경제개발 정책의 유형
Ⅳ. 우리 나라의 지역사회 경제 개발정책
Ⅴ. 미국 지역사회 경제개발 정책의 우리 나라 지역사회 경제개발정책에의 시사점
Ⅵ. 결론 및 제언
Ⅶ.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지도직 국가직으로 환원해야
- 지역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디지털 시대 농촌지도 방법의 효율화 방안
- 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유전자조작식품(GMO)의 사회상 연구
- 원예부문 연구 및 지도 사업의 투자효과 분석
- 농업정보화를 위한 추진 사례와 농촌지도사의 역할
- 미국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 경제개발 정책변화가 우리 나라 지역사회 경제개발에 주는 정책적 함의
- 전문지도 연구회 활동성과의 발전방향
- 사이버 농업 컨설팅 활력화 방안
-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 패러다임 전환과 농촌지도사업 활력화 방안
- 지역사회개발과 사회교육을 위한 개발커뮤니케이션 접근
- 디지털시대의 농업기술센터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플레이스 외식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