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 노인의 일,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감
이용수 132
- 영문명
-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Groups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in Rural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종인(Jong In Kim) 김윤정(Yun Jeong Kim)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19권 2호, 321~35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ays of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by investigating their work and leisure activity, two significant axis of the life in later life.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d one assistant researcher visited house, senior citizen`s center and health center, in order to have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 above 65,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ize of the farm land which each senior citizen works on is 9,237.92m2 and they mostly work for economic reason. During farming season, they work on average 8.62 hour per day. As primary reasons for why farming work is difficult, "insufficient income" was picked. In fact, the average annual income senior citizens earn from farming is about 15.4 million won. 49.1% of sample senior citizens work both on watered farm and farm, and they are engaged in farming 48.82 years on average, showing that most of their lives have been spent on farming.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most senior citizens showed high intention to continue farming work further. Second, senior citizens turn out to spend their leisure time mostly on public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hearing radio and gatherings with families, relatives. However, individual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yoga, drawing and calligraphy turn out to be low because they require foundations to enjoy. Third,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27.09%),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24.42%), group centered to work(23.75%), and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23.75%). Fourth, the group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male senior citizen, higher educational level, living in elderly couple households, and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evel belonged to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But senior citizen aged above 65 years old and working for their livelihood belonged to the group centered to work, and most of female and senior citizen aged above 80 years old belonged to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Finally,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of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than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work. The above result indicates that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depends upon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work.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노인의 일,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감
-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5 -경기도농업기술원 도시농업지도자 과정을 중심으로-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교육운영의 직무탐색과 직무수행모델 개
- 농촌지역 학생의 지역사회참여가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포도주 생산 합작방식이 중국의 포도주산업 발전에 주는 함의: 중국 옌타이(烟台)와 일본 카추누마(勝沼) 포도주 생산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 지역축제 평가속성과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부산국제영화제를 대상으로-
- 농촌지도조직체계의 변화에 따른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모호성에 대한 인식
- 계절 아리마 모형을 이용한 관광객 예측 -경북 영덕지역을 대상으로-
- 포괄보조금제도하의 농산어촌지역개발에 대한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여군 사례를 중심으로-
-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경기도 지역 중심으로-
- 한국 농어업유산제도의 정립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