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편견
이용수 444
- 영문명
- Parental prejudices against the cell-phone use of the youth: focusing on the cell-phone addic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권기욱(Kweon Kee wook) 김규원(Kim Gyu Won) 신형진(Shin Hyoung ji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7집 1호, 26~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소년의 부모들은 휴대폰이 청소년에게 학교생활 부적응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킨다는 생각을 통념으로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부모들의 생각이 일방향적인 편견이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과연 휴대폰 중독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거꾸로 학교생활 부적응이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즉,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과 학교생활 부적응 간의 인과관계의 방향을 고찰한 것이다. 분석에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 년도 및 2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인과관계의 방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패널조사의 장점을 활용하여 휴대폰 중독과 학교생활 부적응의 두 변수 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설정하고 상이한 방향의 두 번의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한 결과 두 번의 회귀분석이 모두 유의미하며 회귀계수의 값이 미미한 차이를 보여, 인과관계의 방향은 휴대폰 중독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의 인과관계도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의 일방향적인 편견을 해소하고 휴대폰 중독과 학교생활 부적응을 함께 개선하려는 개인적,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arents of the youth have a tendency to think that the usage of cell-phone causes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such a popular belief as school maladjustment. This study has started with a critical idea of wondering if their thoughts are one-way prejudices. So we have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 cell-phone addiction would a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or the other way around. In other words, we have studied about the direction of causality between cell-phone addic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of the youth. We have used th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from the first grade panel of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By taking advantage of the panel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direction of causality,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set through a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cell-phone addic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And we have performed two regression analyses of two different directions. As a result, two regression analyses have shown the statistical results that are both significant a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m are slight.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s has turned out to be seen in the school maladjustment on cell-phone addiction as well as in the cell-phone addiction on school maladjustment. Therefore, we would like to safely contend that the empirical outcomes should eliminate parents’ one-way prejudices and that it needs to decrease both a cell-phone addic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at the same time by the private effort as well as the public poli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 자녀 관계를 통해서 본 20대 청년층의 성인기 이행 과정 연구
- 일상생활수행 의존도가 중·고령자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송금행위를 통해 본 가족관계의 협상과 딜레마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기성찰, 부모역할 만족도 및 양육태도 간의 관계
- 한국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편견
- 저숙련 이주노동자의 가족생활
-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부부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 아이돌보미의 역할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플레이스 외식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