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극 지상부의 페놀성 화합물
이용수 2
- 영문명
- Phenolic Compounds of Aerial Parts of Euphorbia pekinensi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안병태(Byung Tae Ahn) 장본강(Ben Kang Zhang) 이상철(Sang Cheol Lee) 김재길(Jae Gil Kim) 노재섭(Jae Seup Ro) 이경순(Kyong Soon Lee)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40권 제2호 (1996년), 170~17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chemical examination of the aerial parts of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Euphorbiaceae) has led to the isolation of seven hydrolyzable tannins and ten flavonoid glycosides. The former ones have been identified as gallic acid, methylgallate, 3-O-galloyl shikimic acid, 1,3,4,6-tetra-O-galloyl-beta-D-glucose,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corilagin, geraniin and the latter ones as isoquercitrin, quercitrin, astragalin, afzelin, prunin, rutin, kaempferol-3-O-rutinoside, quercetin-3-O-(2"-O-galloyl)-beta-D-glucoside and quercetin-3-O-(2"-O-galloyl)-alpha-L-rhamnoside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목차
키워드
Euphorbia pekinensis
Euphorbiaceae
gallic acid
methyl gailate
3-O-gaUoyl shikimic acid
1.3.4.6-tetra-O-galloy1-β-D-glucose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corilagin
geraniin
isoquercitrin
quercitrin
astragalin
adzelin
prunin
rutin
kaempfero1-3-O-rutinoside
quercetin-3-O-(2"-O-galloyl)-β-D-glucoside
quercetin-3-O-(2"-O-gaUoy1)-α-1-rhamnoside
hydrolyzable tannin
flavonoid glycosid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합성법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유사체의 합성
- 음양곽분획물이 생쥐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이온교환체 전극을 이용한 베라파밀 정량
- 에틸렌디아민을 배위자로 한 백금(II)착체의 토끼 및 인체 신장세포에 대한 in vitro 독성
- 경피용 프로드럭인 에칠 글리콜레이트의 국소자극 및 피부투과성
- 생약 중 잔류 생약의 분석법: GC/MS 에 의한 27종 잔류 규제 농약의 분석
- 아미그달린의 투여경로에 따른 면역생물학적 연구
- 녹수초의 항암활성물질의 분리 및 항암력 평가
- 당부분에서 4''-플루오린 또는 4''-아자이드로 치환된 3''-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과 3''-히드록시독소루비신 유도체의 합성과 항암활성
- 한중평위산의 현미감정 연구
- HPLC에 의한 Zea mays 불검화추출물과 그의 함유제제 중 beta-시토스테롤의 정량
- 사람주나무잎의 페놀성 성분
- 대극 지상부의 페놀성 화합물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알로에 제제 중의 알로에신의 정량
- 크실로피닌의 합성
- DNA와 상호작용에서 T4 endonuclease V의 C-말단 부위의 역할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 핵자기공명과 형광 실험
- 형질전환에 의한 S.cattleya의 카바페넴 항생제 생산성 향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