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moting an active use of the creativity-fostering assessment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완기(Lee, Won Key)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1권 1호, 165~189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reativity fostering is one of the key objectives of modern education. Even if the main objective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and enhance basic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creativity should and can also be fostered in every aspect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or this research, 47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s were asked to write freely their answers to the given delphi-typ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9 questions including one about respondents' background information. The questions were mostly about their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ity-fostering 'describe-and-narrate test' of elementary English. And also how to promote the use of creativity-fostering 'describe-and-narrate test in schools was also asked. All the respondents were free in expressing their opinions and ideas, and some of the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about their unclear, if any, statements. To promote the use of the creativity-fostering tests in school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it seems necessary that some prototypes of such test, as exemplified in this paper,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the school teachers, at least in the initial stages. It is argued that, as the experience in using the prototypes is gained, teachers could be trained so that they could revise or improve the prototypes. Teacher training in creativity education should also be intensifi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창의성과 창의서술형 평가의 의미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내용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