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mbodiment of Humanistic Connotation of Public Art under the City Culture Construction
이용수 1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Jing SU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7집 4권, 129~1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the 21st century, our country has entered the stage of rapid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s an important constituent part in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urban culture, public art interprets the pattern, environmental and aesthetic function of urban public space through the main form of visual art, and constructs the public aesthetic culture and service system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us,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 of urban culture value in the transformation stage have been increasingly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 between urban culture and public art are taken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existence of public art and the influence of urban culture on public art are made clear. The inheritance and intrinsic relations between public art and urban culture, and the reflection of the core humanistic value and the construction of public art under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urban cultural construction are interpreted. In addition, the cultural value brought by a city to public art and the building of a visual image of urban culture completed by public art are further realized.
목차
Abstract
Ⅰ. Intrinsic link between urban public art and urban culture design
Ⅱ. The humanistic connotation of urban public art embodies
Ⅲ. The realization of humanistic value of urban public art
Ⅳ. Conclusions
Bibliograph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니람의 환원 조건에 따른 견직물의 염색성
- 조선청화백자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 종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박쥐문양을 활용한 한지 조명디자인 개발
-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Cultural Hybridity through the History of Glass Exchange
- 어린이 공원의 스토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예술인 창작지원 복지사업의 만족도 및 예술활동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중국 포산(佛山; 불산)의 와지공자이(瓦脊公仔; 와척공자) 연구
-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공간과 디스플레이 연구
- Embodiment of Humanistic Connotation of Public Art under the City Culture Construction
- 해방 이전 여학생 교복차림의 서구화
- 도자파편을 이용한 현대미술의 표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