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Cultural Hybridity through the History of Glass Exchange
이용수 5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Song Min Jeo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7집 4권,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irst appearance of glass in East Asia dates back to the fifth century BC. However, due to the preference of other media such as gold, ceramics, ivory, jade, etc. the development of glass was very sporadic and slow until the early modern period(sixteenth to nineteenth century). When compared with North American and European modern glass, the beginning of East Asian modern glass art was relatively late. However, with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relate to traditional glass art and craft, glass in East Asia has been generating a new kind of glass history despite the fact that foreign influences both in technical and aesthetical aspects have been inevitabl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current scene of adopting foreign glass skills and aesthetics and adapting them to develop originality can be compared to the early period glass exchange between East Asia and Western Europe. Drawing on the history of early modern glass history of East Asia, this study analysed the identity of East Asian glass as a whole and individually compar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originality and hybridity of East Asian glass art.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Selective History of Glass in Early Modern East Asia
Ⅲ. Contemporary Glass Art in East Asia
Ⅳ. Conclusion
Bibloi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니람의 환원 조건에 따른 견직물의 염색성
- 조선청화백자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 종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박쥐문양을 활용한 한지 조명디자인 개발
-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Cultural Hybridity through the History of Glass Exchange
- 어린이 공원의 스토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예술인 창작지원 복지사업의 만족도 및 예술활동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중국 포산(佛山; 불산)의 와지공자이(瓦脊公仔; 와척공자) 연구
-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공간과 디스플레이 연구
- Embodiment of Humanistic Connotation of Public Art under the City Culture Construction
- 해방 이전 여학생 교복차림의 서구화
- 도자파편을 이용한 현대미술의 표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