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ethidathion 중독사에 의한 사후혈액 및 조직중 분포
이용수 8
- 영문명
- Postmortem Distribution of Methidathion in Human Specimens of a Acute Poisoning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이종숙(Jong Sook Rhee) 이재신(Jae Sin Lee) 최동기(Dong Ki Choi) 양희진(Hee Jin Yang) 이상기(Sang Ki Lee) 구기서(Ki Ser Koo) 유영찬(Young Chan Yoo)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46권 제2호 (2002년), 93~9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ethidathion is one of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commonly used for stamping out hanuul pests in farming areas. This paper presents a fatality due to methidathion intoxication and describes the distribution of methidathion in postmortem blood and tissues obtained at autopsy. Qualitative identification of methidathion was achieved by TLC, GC and GC/MS,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GC with thermionic specific detector (TSD). The analytes in postmortem specimens were extracted by liquid- liquid extraction (LLE) with ethylether. After the ethylether layer was evap- orated, the residue was partitioned into hexane and acetonitrile, and the acetonitrile layer was used for analysis. Tissue specimens were homogenized with 4% perchloric acid and applied for LLE. After extraction, the extracts were reconstituted 100μg pyraclofos (IS,100μg/ml in methanol) for GC and GC/MS analysis. On analysis of Postmortem specimens, methidathion was identified and quantitated. The methidathion concentrations were 2.0μl/ml In blood,24.4μg/g in liver 13.9μg/g in lung, 21.8 μg/g in kidney respective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섬유화(경화)를 유도한 실험동물에서 생약 추출물(LH)의 항산화와 항섬유화 효과 검색
- Chitosan이 마우스의 정상 및 cyclophosphamide로 억제된 일차 체액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ryloxyallylthiopyridazine 유도체 합성
- Myxococcus stipitatus JW150이 생산하는 세포독성 물질의 분리 및 특성
- Silencer및 DNA methylation에 의한 JC virus early promoter의 뇌교세포 특이적인 조절
- Methidathion 중독사에 의한 사후혈액 및 조직중 분포
- 소목 부탄을 추출물이 B16/F10 흑색종세포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효과
- 홍삼 산성 다당체의 마크로파지 및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에 의한 항암작용
- 횐쥐에서 nitrone계 항산화제인 α-phenyl-n-ter-butyl nitrone(PBN)의 뇌 투과성 및 체내동태
- 난용성 의약품의 생체이용률 증진을 위한 무정형 초미립자의 조제 : UDCA와 SLS의 혼합분쇄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