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individual's learning styles affect grammatical achievement in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instruction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규미(Kim Gyoo mi)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26권 4호, 131~14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ffects of grammar instruction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but the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grammar is still controversial because every student has different learning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s on deductive and inductive grammar instruction. A total of 10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received different types of grammar instruc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students' interaction style and task-approach style and examined whether two types of learning style affected the students' grammatical achiev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interaction style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achievement, and introverted students got higher scores in deductive instruction while extrover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inductive instruction. A task-approach style also affected students' grammatical achievement, and closure-oriented students showed better achievement in deductive instruction. From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languag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use appropriate grammar teaching methods. It also recommends that grammar instruction should includ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o allow students to take advantage of their learning style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are also present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어휘 학습 전략과 영어 어휘 성취 사이의 구조 관계 분석
- A Study on Reducing Foreign Language Anxiety While Speaking English with Foreigners
- Exploring the Effects of Error Correction versus Reformulation on Students' Revision in a Collaborative Writing Context
- Revision Types and Their Effects on Writing: A Case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 참가 학생들이 인지하는 초등 영어캠프 몰입프로그램에 대한 학습효과와 흥미도
- 연역적ㆍ귀납적 문법교수에서 개별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이 문법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A Corpus-Based Analysis of Scientific Writing in L2 College Students
- 영어 찬반토론 능력 평가의 타당성 연구
- 모국어 쓰기 불안, 제2언어로서의 영어 쓰기 불안, 영어능숙도 및 영어 쓰기 수행 간의 관련성
- 패턴이 있는 이야기책 학년교차 읽어주기를 통한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의 읽기 지도
- Exploring the Use of Have + Noun Collocations in Korean EFL Learners and NS Corpora
- 컨벤션영어 코퍼스 기반 연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