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드코디네이터 직무 역량 요구와 전공자의 성취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A Study on Job Competency Requirements of Food Coordinator and Student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허정(Hur Ju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8권 2호, 43~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en the dining industry is getting more sophisticated with more employees, it is rightfully required to study the job of professional food coordinator in the area.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n the items needed to carry out food coordination showed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al skills and professional ethics indicated low needs and performance; patience, perseverance, passion for cooking and styling and understanding of social trends both high needs and performance; physical strength high needs but low performance; aesthetic and styling sense, cooking and styling skill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specialty low needs and performance; culinary knowledge and skills, ingredient-related knowledge, plating design, food display, menu design, chromatics and color matching skills, table setting and decoration, cutlery knowledge on dinnerware, table tool design, understanding food culture of the world high needs and performance; camera operation and photography, party planning and event and coffee brewing high needs and low performance; understanding food nutrients, knowledge about the dining industry, food writing, business foundation and management, understanding wine, consulting competency on shop management and mixing cocktails low needs and performance; and last culinary terminology, styling for the media, menu planning and development low needs and high performance. The requirements that working food coordinators largely acknowledge should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in training food styling students and reflected to the curriculum while mod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overall curriculum should take place to strengthen the areas of low performance and further reinforce those of good performance. All of these will attribute to ensure current students become professionals of full competency in the field eventuall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