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식을 소재로 한 현대 여성미술가의 작품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Study on Contemporary Woman-Artist Using The Food: Focused on Feminist Artist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나정기(Na Jeong Ki) 김형섭(Kim Hyung Sup)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8권 2호, 15~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dern art with Impressionism at the root developed further to embrace various tendencies and attempts since Fountain by Marcel Duchamp in 1917. The work led to making limiting genres in art meaningless and allowing unrestricted use of art material. Later in 1960s, postmodernism discussion laid foundation to feminism and feminist female artists came to existence. They made a wide range of attempts, especially works on food by Judy Chicage, Jana Sterbak, Janine Antoni and Lee Bul. These artists criticized severely suppression, agony, subordination and discrimination on women related to eating or food in the patriarchical system, which contributed to higher status of woma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식을 소재로 한 페미니즘 미술가의 작품
Ⅳ. 음식과 젠더로서의 여성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