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Optimism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and Cop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연(Park Ji Yeon) 장재윤(Chang Jae Yoo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3호, 121~14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대처행동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학령기 장애아동 부모 692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 강화적 대처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자아 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부모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부모 상담과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692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report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or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Self-strengthening coping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had a double mediate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strengthening coping. Also,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oth fathers and mother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arent counselling and family support program were discussed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에서 특수학교로 전학한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학교생활 경험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학생 부모의 통합교육 인식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The Effects of Intensive Tact Instruction on the Emergence of Vocal Verbal Operants in Non-Instructional Setting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지체장애아동 비장애형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특수교사의 발문과 탐문 유형 분석 및 인식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