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pects of recognition about nature and historical meaning of Sadaebu Sijo(사대부 시조) in 16C이수곤(Yi Su gon)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이수곤(Yi Su go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6권, 7~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aspects of recognition about nature and meaning of Sadaebu Sijo(사대부 시조) in the 16th century.
There is no doubt that nature is the material of Sijo(시조) as appeared in the era of first and middle part of Chosun(조선).
So this thesis arranged words through Sijo(시조)written by Lee-Hwang(李滉)ㆍKwan-Homun(權好文)ㆍLee-I(李珥)ㆍChung-Chul(鄭澈). As folloos;
First, nature in Sadaebu Sijo(사대부 시조)of the 16th century has meaning as a kind of Eungugirak(隱求之樂, joy of pursuit Do(道) in Seclusion or a space that reminds politicl reality. Sadaebu(사대부) perceives and feels nature at the level of ruling man or self-training. This means that nature itself isn't a purpose, Nature isn't an object of joy but that of being idealized. It is extremely said that nature has a value as a means to an end.
Secood, this aspect of recognition about nature continued throughout the 16th century. It was because Sadaebu's(사대부) fundamental position or character wasn't changed, though there were many purges of scholars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and a faction in later part of the 16th century.
By middle part of the 17th century, the position and character of Aristocrats(양반) were changed Ideality was weaken but concreteness was strengthened.
In order to progress toward giving shape of this thesis, we have to compare poetical nature shown slightly in Sijo(시조) of the 16th century with nature shaped in Chunga Sijo(田家時調) formed in the 17th century.
목차
Ⅰ. 본고의 방향 및 고찰 범위
Ⅱ. 시조에 나타난 '자연' 공간의 성격
Ⅲ. 16세기 사대부 자연 인식이 갖는 時調史的 의의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