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두와 이두한문 번역 고찰
이용수 322
- 영문명
- Idu Script and its Chinese Version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김영수(Young-Su Kim)
- 간행물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27권, 87~107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두와 한자의 관계, 이두의 구성요소 등을 고찰하고 이두번역문이 현대와 다른 독특한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자 차용 방법을 표의자와 표음자로 분류하고 표의자는 음독자와 훈독자로, 그리고 표음자는 음차저와 훈차자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특히 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예를 들어 분석함으로써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대명률직해는 1395년에 중국의 법전인 대명률을 이두문으로 번역한 책이다. 이 문헌은 이두 한문번역의 첫 작품으로서 후기의 언해시기의 번역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치어 한국의 중한 번역사 고찰에도 사료적 의의가 큰 문헌이다. 이 대명률직해의 번역은 현대의 번역과는 양상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번역문에 원문의 한자 어휘들을 어순만 적당히 조절하고 이두자로 조사와 어미만 붙이고 그대로 적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직역과 의역을 적절히 조화시켰으며, 역문의 특성에 따라 첨가, 어순전환과 같은 방법을 시도함으로써 후세의 번역, 특히 언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었다.
영문 초록
Idu Script and its Chinese Version are important cultural relics in Korea. Idu, though represented with Chinese characters, is Korean writing system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Chinese. It has been widely used for centuries to scribe official documents as a well as translate Chinese into Korean.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u and Chinese characters, and the elements of Idu and explores the features of translating Idu "Daemyeongryul-Jikha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두와 한자의 관계
Ⅲ. 이두와 한문의 차이
Ⅳ. 이두번역문의 특징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두와 이두한문 번역 고찰
- 조선 말기 璿源續譜 발간경위와 정치적 의미
- 중국 선진시대 인간본성론의 윤리학적 탐구(1)
- 미국의 동남아시아 연구사
- 어거스트 윌슨(August Wilson)의 피아노 레슨(The Piano Lesson)
- 이태준 서정소설의 특질 연구
- 1930년대 안막의 비평 연구
- 가정의 구조적 결손과 기능적 결손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신궁' 설립을 둘러싼 논쟁의 검토
- 현대 관광과 시공간 소비의 의미 변화
- 영화 <아바타>의 이항 대립 구조
- 칠산어장권의 해신 신앙과 특징
- 정보화 사회에 따른 대학교육의 개선에 대한 소고
- 漢代 經學世家의 출현과 伏氏一家
- 한국전쟁기 한국사진가의 사진사적 위상
- 외국인 텍스트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표상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