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in the Attitude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ry Criticism Accepting Jams Joyce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손정수(Son, Jeong-soo)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10집, 11~41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를 비롯한 서구의 모더니즘 문학이 일본을 경유하여 식민지 조선의 문학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그 현상을 수용하는 당대 비평의 양상을 몇 가지 담론적 상황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모더니스트들의 담론 속에서, 세태소설에 대한 논쟁 속에서, 그리고 역사철학적 소설론 속에서 제임스 조이스 현상은 식민지 조선의 담론계에 투명하게 전달된 것이 아니라 그 고유의 인식론적 조건에 기초하여 양가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방식은 세계문학으로서의 권위와 자본주의의 쇠퇴 현상에 대응되는 편중된 경향이라는 부정적 인식 사이에서 유동하면서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전개된 새로운 문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현실적인 시야를 성립시켰다. 그것은 기본적으로는 루카치를 중심으로 한 마르크시즘 문학이론의 역사철학적 구도 속에서 이루어졌던 것이지만, 몇몇 비평가들에 의해 이루어진 그에 대한 반성적 인식은, 비록 당시의 현실적 상황 속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어려웠지만,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마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studies the attitude of comtemporary korean literary criticism accepting the James Joyce boom in 1930's before examining in earnest the influence of western modernism on korean literary work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caused ambivalent response between the affirmation of literary authority and the negation of the late capitalistic literary trend, which enabled literary critics in that period to have critical view into the comtemporary literary scenes. Those responses basically relied on the marxist literary theory but some of them tried to reflect the cognitive premise itself and it can be said that the trials could have beared possibilitie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modernism.
목차
1. 조이스 현상의 상륙
2. 조이스 현상을 수용하는 당대 비평 담론의 양면성
3. 조이스 현상의 수용과 모더니즘 소설의 가능성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성 모더니즘 소설 연구
- 구보와 다섯 자식들의 이야기
- 오영수와 아나키즘
- 일제 말기 징용체험의 소설화와 그 특성
- 박태원의 소년소설에 대한 고찰
- 수사학으로 살펴본 박태원 소설의 문제성
- The Ethical Sensibility of Pak's Kubo and Scenes from Ch'onggye Stream
- '골목'의 모더니티
- 조이스 현상을 수용하는 당대 비평 담론의 양상과 그 의미
- 일제 말기 재난에 대한 생산력주의/생산주의의 대응
- 박태원과 국어교육
- 『구보학보』의 연 2회 발간에 부쳐
- 『천변풍경』의 정치성 연구
- 박태원의 추리소설 번역과 상상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정착민 식민주의로 왜관을 다시 상상하기 - 배길남의 두모포왜관 수사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