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조성의 탐구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법에 관한 고찰
이용수 60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Learning for the increase of inquiry ability of creativity
- 발행기관
- 창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아(Kim, Jeong-a)
- 간행물 정보
- 『창조교육논총』창조교육연구 14호, 1~25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increase of inquiry ability that belongs to intellectual field of creativity.
The inquiry ability pertains to thinking action and belongs to the faculty of high thinking. Human is a creative being, and the effort to cultivate human intellectual capabilities by inquiry ability is the core subject of pedagogy.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ncrease inquiry ability of creativity, the process of the inquiry learning suggested by Suchman, Lippitt, and Thelen was reviewed.
Inquiring thinking ability is the one that a learner is to collect data actively, put them together, and create the new information in teaching-learning.
Creativity is a human thinking ability to be described based on reason and intellect, and it can be manifested by inquiry ability.
The main elements of the conditions of teaching-learning for the increase of inquiry ability are the data availability by learner, the organization of inquiry group, the utilization of resource personnel, and the planning of inquiry schedule.
Inquiring thinking ability is the one that a learner is to collect data actively, put them together, and create the new information in teaching-learning. Therefore, to increase the inquiry ability by teaching-learning is to cultivate creative ability.
Inquiry ability, which is a latent ability to learner, is a human potential tendency to be increased by teaching and learning.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possibility to increase the inquiry ability would be the touchstone for the teaching-learning effect to manifest creativity.
Thus, to create and seek the conditions for learner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inquiry ability should be the salient subject of teaching-learning.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등사고의 특징과 탐구력
Ⅲ. 창조성과 탐구력의 관계
Ⅳ. 탐구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