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 그림책에 기초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0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on both scientific research skills and natural friendly attitude for the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선희(Kim, Sun Hee) 박은주(Park, Eun Ju)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8권 제1호, 60~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그림책에 기초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C유치원 만4세 유아들(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4명)이며, 생태그림책에 기초한 자연체험활동은 2013년 8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 6주 동안 매주 4회씩 총 24회 실시되었다. SPSS를 활용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그림책에 기초한 자연체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과학적 탐구능력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에 대한 과학적 탐구능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그림책에 기초한 자연체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자연친화적 태도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자연보호태도'에 대한 자연친화적 태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ffection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on both scientific research skills and natural friendly attitude for young children. 25 children at the age of four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located in D city a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children for comparison group.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were done twenty-four times in total, four times a week, for six weeks from 26th August 2013 to 14th October 2013.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test with SPSS 12.0.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and the children who did not was significant in the total score for scientific research skill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than the children who did not is the score in the sub factors for scientific research skills; prediction, observation, division.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and the children who did not was significant in the total score for nature friendly attitude. The score of 'nature conservation attitude' which is the sub factor for nature friendly attitude is significantly increased to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when compared the children who did no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연구
- 생태 그림책에 기초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애정적, 거부적 양육태도 및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모형 분석
- 유아의 문제행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직원의 사회적 자본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어머니의 스트로크가 유아 또래 간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
- 동물을 주제로 한 매체활용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달장애아동의 의사결정능력과 자기결정권에서 후견인제도 도입 고찰
- 유아기 자녀를 둔 출신국적별 외국인 부모의 양육행동과 삶의 질 및 문화적응스트레스 비교연구
- 시설아동의 통합적 레크리에이션 승마 프로그램이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