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손자녀 돌봄노동이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21
- 영문명
- A Study of the Effect of Grandparents' Caregiving of Grandchildren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미령(Kim, Meeryou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6집 1호, 178~2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손자녀 돌봄노동을 담당하고 있는 조부모 379명이다. 본 연구는 펄린(Pearlin et al., 1990)의 스트레스과정모델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여 돌봄노동을 담당하는 노인특성, 돌봄상황 스트레스원, 돌봄 파생스트레스원 및 대처자원이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변인군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기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부모 관련 변인 중 신체적, 심리적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돌봄상황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돌봄파생 스트레스원인 자녀와의 갈등은 삶의 만족이나 우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자녀와의 갈등이 손자녀 돌봄노동을 담당하는 조부모의 복지에 중요한 영향요소임을 알 수 있다.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은 우울보다는 삶의 만족도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the KReIS and focused on the 379 grandparents wh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The study used Pearlin et al.(1990)'s stress process theory which consists of contexts, primary stressors, secondary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With using Pearlin et al.'s stress theory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f grandparents who take care their grandchildren were examined. As a positive effect, life satisfaction was used and for measuring negative effect, depressive symptoms were used. Grandpar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grandparents are very important when considering "off time" caregiving role. Primary stressors, which are caregiving situation such as period and time of caregiving,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However, the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which is secondary stressor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outcomes. When they do not have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it affected positively and if they had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it affected negatively. Overall the effect of caregivng of grandchildren explained mor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than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logical anxie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