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Ⅱ
이용수 781
- 영문명
- Portraits of Childless Couples in South Korea Ⅱ: Factors Predicting Voluntary and Involuntary Childless Married Koreans' Psychological Well-Bei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성미애(Sung, Miai) 최연실(Choi, Younshil) 이재림(Lee, Jaerim)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6집 1호, 72~1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발형과 비자발형 무자녀 기혼자의 심리적 복지(생활만족도, 우울)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결혼한 지 3년이 경과하였으며, 자녀가 없는 50세 미만의 기혼자 361명(자발형 182명, 비자발형 17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자녀 기혼자는 중간 수준으로 생활에 만족하였으며, 자발형이 비자발형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우울은 유형에 상관없이 중간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생활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자녀 유형에 상관없이 젊고, 종교를 중시하는 삶을 살고, 부부소득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유형별 차이도 있어 자발형은 남성인 경우, 홑벌이인 경우, 부부소득 수준이 높은 경우, 부부만 보내는 시간의 빈도가 높은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비자발형은 가족주의를 지지하는 경우, 양성평등적 가족부양을 지지하는 경우, 취학 전 자녀를 어머니가 직접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에 덜 동의하는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우울을 예측하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무자녀 유형에 상관없이 부부만 함께 대화하거나 활동을 하는 시간의 빈도가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유형별로는, 자발형의 경우 부부소득이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남녀차별적 가족부양 태도를 보일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비자발형의 경우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 수준이 높았고, 부부소득이 낮은 경우 우울 수준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무자녀 부부를 대상으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마련할 때 자발형과 비자발형의 차이 등 무자녀 부부의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predict childless married Koreans' psychological well-being, measured by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Data came from 361 childless married Koreans (182 voluntary childless individuals, 179 involuntary childless individuals) aged 49 years or younger, had been married for at least three years, and lived in metropolitan Seoul. We separated the childless individuals into two groups, voluntary childlessness and involuntary childlessness, and examined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each group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overall, childless married Koreans reported a modest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a relatively low level of depression, but the voluntary group's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voluntary group's. In addition, younger age, greater importance of religion, and greater perceived couple income sufficiency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life satisfaction both for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groups. For the voluntary group, being male, having a single income in the household, higher couple income, and greater frequency of couple-only time were also related to greater life satisfaction. Only for the involuntary group, familism, egalitarian gender roles about family breadwinning, and attitudes toward maternal child care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other finding was that both groups' frequency of couple-only time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Unique factors for the voluntary group were perceived income sufficiency and egalitarian gender roles about family breadwinning, which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For the involuntary group, being female and having lower couple income were related to greater depres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oth overlapped and differed between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childless groups. This finding suggests that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eterogeneity of childless married Koreans.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