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증인보호제도를 통한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의 재조명
이용수 248
- 영문명
- Review on Witness Protection Act in Korea by on America’s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서주연(Seo, Ju-Yeon)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21권 제1호, 57~81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eat to witness in criminal procedures is increased rapidly. Recently, a woman killed after testimony, similar cases occur frequently. The threat like this increased 3times after 2006. So the problem has been more seriously than any times.
Korea have special protection act for criminal reporter on specific crime, the act seek to keep the privacy of witness by restricting public examination in certain cases. Therefor, it is crucial that witnesses be protected from any abuse during the criminal proceedings and from any threats from the accused.
The Witness Protection Program of USA has a good regulation for it. They have serious concern for that problem during 40years. Of course we considered this program but it still have some week point. For example, adviser for criminal procedure is good for witness, especially in court, but we only have a person to help witness not for adviser in criminal procedure. Plus, in USA has some program for witnesses new identity and new place we don’ have. Therefore, this regulation will be helped to witness on violent crimes, so we have some point to consider.
We have more attention about witness protection than in the past, but still have many week point. So we need more research for witness protection.
목차
Ⅰ. 들어가는 글 - 증인보호의 필요성
Ⅱ.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상의 신변보호제도
Ⅲ. 미국의 증인보호제도
Ⅳ. 미국 증인보호제도의 시사점
Ⅴ.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피해자보상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양형절차에서 피해자 진술권의 역할
- 성범죄 피해 아동의 기억력 및 증언 능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의 근거와 현행법제의 타당성 연구
- 제2차 피해자화와 관련한 독일의 최근 논의의 시사
- 범죄피해, 범죄의 두려움과 청소년의 삶의 질
- 미국 증인보호제도를 통한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의 재조명
- 성범죄 피해자의 관점에서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의 형사정책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산업재해 사망 피해의 형사 규제 방향
- 기회이론을 활용한 학교폭력 피해요인 분석
- 경찰관의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의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