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관의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의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olice Officers’ Consciousnes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Human Rights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김재민(Kim, Jae-Min)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21권 제1호, 5~31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very effort such as institutional reform and legislation for victims’ human rights does not always ensure the completeness of securing their rights in the field of the criminal justice area. It is just because there are still various stereotypes and old fashioned practices toward victims. The criminal justice authorities have still tendency of considering the victims as just a tool for collecting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ss. Compared to the human rights of the accused and the suspect, that of the victims’ has been often ignored by police in addition to the other criminal justice officials even in present times. Therefore, the level of the consciousness of police regarding victims’ human rights should be examined and made sure to the public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 It might help to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victim policies more progressively if the result of the research would give the motive to meet the global standard for victims’ human rights.
With this reason, this author makes a attempt to perform the empirical research by measuring the level of the consciousness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result of the answers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carry out this research successfully, the direct or indirect indicators which could measure the level of the consciousness are extracted from the context of “Declaration of Basic Principles of Justice for Victims of Crime and Abuse of Power”of U.N. and “Summary of Victims’ Rights in the Process of Criminal Justice” of the E.U. and Korean present victim policies. These indicators have also characteristics as valuables for this study.
This kind of empirical research would enable the public to perceive the gab between the ideal of the victim policies and the real consciousness of the police so that it could make an impact on designing and improving the victim policies more properl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절차 및 분석
Ⅳ.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피해자보상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양형절차에서 피해자 진술권의 역할
- 성범죄 피해 아동의 기억력 및 증언 능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의 근거와 현행법제의 타당성 연구
- 제2차 피해자화와 관련한 독일의 최근 논의의 시사
- 범죄피해, 범죄의 두려움과 청소년의 삶의 질
- 미국 증인보호제도를 통한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의 재조명
- 성범죄 피해자의 관점에서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의 형사정책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산업재해 사망 피해의 형사 규제 방향
- 기회이론을 활용한 학교폭력 피해요인 분석
- 경찰관의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의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