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분석을 통한 중소도시 수해특성 및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이용수  126

영문명
Spatial Analysis of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a Study on Urban Planning Methods for Flood Risk Reduction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이병재(Byoung Jae Lee)(李丙在) 김원현(Won Hyun Kim)(金原鉉) 송주일(Ju Il Song)(宋柱日) 심우배(Ou Bae Sim)(沈遇培)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6호, 45~63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2년 수해는 단시간에 내린 국지성 폭우가 1차적 원인이었으나, 재해 위험을 고려하지 않은 도시개발이 피해를 가중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방재예산과 방재인프라가 부족한 중소도시에서 피해가 상대적으로 더 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발전적 특성 및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 2012년에 수해피해가 컸던 서남지역의 군산, 목포, 여수시에 대한 공간분석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수해특성을 분석하였다. 침수지역 공간분석 결과 지형경사가 급하고 집수면적이 좁은 지역에 단시간에 우수가 집중되어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깔때 기형과 지형경사가 완만하나 집수면적이 넓은 지역에 대량의 우수가 집중되어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사발형의 두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두가지 유형에 따라 우수유출 지연 및 분산(깔때기형)과 우수유출량 저감(사발형)을 위한 도시계획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cause of 2012 floods is the torrential rains fell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urban development which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risk of disaster damage weighted the flood damage. Especially,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hich are in the status of the lack of disaster prevention budget and infrastructure, the damage was relatively bigg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evelopment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conduct the spatial analysis and on-site investigations for Kunsan, Mokpo, Yeosu City which are damaged by flood in 2012, and analyze the flood damage charateristics. Based on flooded area spatial analysis, two types of flooded area characteristics are derived. One type is the funnel-shaped type which has the steep catchment area in a small area. And, the other type is the bowl-shaped type which has the gentle slope catchment area in a large area. For derived two types, urban planning adaptation methods which are the way for delaying and dispersion of runoff(funnel-shaped type) and the way for reducing runoff(bowl-shaped type) are propos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중소도시의 특성 및 대상지역 선정
Ⅲ.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재(Byoung Jae Lee)(李丙在),김원현(Won Hyun Kim)(金原鉉),송주일(Ju Il Song)(宋柱日),심우배(Ou Bae Sim)(沈遇培). (2013).공간분석을 통한 중소도시 수해특성 및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9 (6), 45-63

MLA

이병재(Byoung Jae Lee)(李丙在),김원현(Won Hyun Kim)(金原鉉),송주일(Ju Il Song)(宋柱日),심우배(Ou Bae Sim)(沈遇培). "공간분석을 통한 중소도시 수해특성 및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9.6(2013): 45-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