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isaster Reports of the Korean Media -Focused on Daily Newspapers' Analyses of Typhoon, Heavy Rains and Heat Wav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조항민(Hang Min Cho)(趙恒珉)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6호, 21~4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 가운데 2012년 많은 피해를 가져왔던 태풍, 폭우, 폭염이라는 기상재해에 대한 주요 일간신문의 보도태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활용, 뉴스 프레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보도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해당 재해의 발생기간 동안 소나기식으로 언론보도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해설/분석'이나 '기획/연재' 등의 심층성 높은 기사보다는 대부분 기본정보 중심의 '스트레이트'형식의 기사가 많았다. 보도내용은 '재해정보', '피해상황' 에 집중되어 재해 예방 및 향후 유사 재해의 대처를 위한 방재 정보제공에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활용경향은 기상재해에 대한 보도인 만큼 '기상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 '전문가' 활용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언론사별로 재해보도의 프레임유형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사를 접하는 독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피해/대응 정보 프레임'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는 관행적으로 지속되어온 재해보도의 감성화, 실용성 부족에 대한 문제제기와 비판을 우리 언론이 수용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me main daily newspapers' report attitudes toward meteorological disasters having brought about a great deal of damage in 2012, such as typhoons, heavy rains and heat waves, out of all the disaster reports of the Korean medi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port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Korean media tended to focus on reports about disasters during the period of a particular disaster, and most of the repots about disasters were basic information-centered 'Straight' type reports rather than in-depth reports. As a result of analyzing report content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Korean media failed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disaste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for future similar disasters since most of the reports were focused on 'information about disasters' and 'damage extent'. As a result of analyzing news frames of disaster reports, this study found out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in frame type of disaster reports between news media, and the majority of reports had 'damage/countermeasure information frames' substantially needed for readers having read news articl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기존연구 검토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기극복 과정에서의 조직의 구조적ㆍ행태적 변화가 조직몰입 및 조직역량에 미친 영향
- 가스화재사고 사례 분석
-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급여제도 비교
- 국가위기관리기본법(안) 제정 발전방안
-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에 관한 연구
- 공간분석을 통한 중소도시 수해특성 및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 해수욕장 성범죄의 특성과 범죄예방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 대형교차로 주변지역 수해특성 분석 및 도시방재기법 연구
- 학교폭력 거버넌스 분석에 관한 연구
- 체계적인 방재자원 동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운영체계 및 제도 개선 방안
- 개인정보보호의 현황과 개선방안
- 해안침식 방지를 위한 지오튜브의 실내모형실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Predicting Hotel Economic Trends Using Machine Lear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Models
- 지방의원의 대의역할 인지와 의정활동 관계 연구: 경기도 대도시 기초의회 의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and the Logic of China’s Sustainable Transformation: Focusing on Policy Discourse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