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상호영향
이용수 1,151
- 영문명
- A Longitudinal Interaction between Korean Elderly Couples on Marital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주수산나(Joo, Susanna) 전혜정(Jun, Hey Jung) 채혜원(Chai, Hye Wo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5집 4호, 91~11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기적인 결혼관계를 유지해 온 노년기 부부는 오랜 기간에 걸쳐 서로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노년기 부부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배우자가 있는 노인 한 개인을 대상으로만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부부관계를 분석해왔기 때문에 부부간 상호영향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부 모두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남편이 아내에게, 아내가 남편에게 미치는 부부관계 만족도의 상호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연구패널’의 1차년도(2006년)부터 3차년도(2010년)까지 혼인상태를 유지한 60세 이상의 부부 1,091쌍, 총 2,18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에 기반을 둔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노년기 부부들에게 있어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는 종단적으로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로부터 받는 영향은 아내보다 남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부부관계는 배우자와 주고받는 역동에 따라 형성된다는 점, 그리고 노년기 부부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 부부 모두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Elderly couples that have maintained long-term relationships cast constant influence upon each other for a long time.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dealt with marital relationships in late life show some limitations in that they analyzed the relationships using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only one of the couples. Such approach is insufficient to study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elderly couples. Therefore, based on three waves of longitudinal data gathered from both of the husband and wif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term interaction in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over a six year time period. The study sample were 1801 elderly couples (N=3602) aged 60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all three waves of KLoSA (2006, 2008, 2010). The cross-legged model with Mplus 6.12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lderly husbands and wives share a significant degree of longitudinal interaction in terms of influencing each other's marital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husbands' and wives'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reciprocally predicted each other's marital satisfaction two years later. Therefore, in studying the late-life marital relationship,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both spouses because the marital relationship becomes significantly intwined during late lif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