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nowledge and Awareness on Sex among Hospitalized Mentally Disabled and Related Practitioners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안경란(Ahn, Kyung-Rann) 박정숙(Park, Jeong Sook) 이경희(Lee, Kyung-Hee)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16권 제1호, 65~7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conduc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n sex among hospitalized mentally disabled patients and related practitioners. Method: The subjects were 448 mentally disabled and 108 practitioners working in mental hospita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60 item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3 to February 15, 2010. Results: Knowledge on Sex among mentally disabled showed moderate scores receiving 20.51 out of 30 compared to sex awareness which received average 2.65 out of 4. D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x awareness between mental disabilities and related practitioners. Items which showed higher scores on sex awareness of mental disabilities include 'must ensure sexual purity for happy marriage', 'same sex marriage should be legalized', 'paid sexual relationship is wrong', and 'marriage should be prerequisite for sex life'. Items that showed higher scores on related practitioners' sex awareness were 'sex is one of the natural human desire', 'sexuality should be resolved in a proper way', and 'masturbation is a natural behavior'. Conclusion: Related practitioners should clearly find out sex knowledge and awareness of 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 means to consider sex related problems and find methods to assist the mentally disabled.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 양육행동 및 양육 스트레스
- 간호대학생의 입원환자 낙상에 대한 태도와 낙상예방행위
- Personal Factors Affecting Collaboration among Health Care Disciplinary Teams
- 인슐린 주사를 시행하는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 수행과 혈당조절
- 임신부의 모유수유 및 신생아 수유능력에 관한 지식정도
- 정신병원에 입원한 정신장애인과 관련실무자의 성지식과 성의식
- 대학병원 입원환자의 초기 통증양상 및 관련요인
- 일개 광역시 병원 종사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및 영향 요인
- 자연폐경여성과 인공폐경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갱년기 적응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