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pulation inferences and variance estimation based on PISA sampling design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조지민(Ji Min Cho) 정혜경(Hyekyung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4호, 875~896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ISA 층화 표집 설계, 설문 가중치, 다섯 가지 유의 측정값을 활용한 통계 분석, 표집 분산과 측정 오차 분산을 반영한 표준 오차 산출을 위한 이론을 검토하고, 통계 모형을 적용한 실제 자료 분석을 통해 PISA 자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용을 돕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 가중치 적용 여부에 따라 일부 변인의 회귀 계수와 승산비에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으며, 하나의 유의 측정값을 임의로 선정하여 분석한 경우 일부 모수 추정치의 크기뿐만 아니라 통계적 유의성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5개의 유의 측정값을 활용하여 표집 분산과 측정 오차 분산을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층화 표집을 위해 사용된 외층 변인을 제외하고, 모든 예측 변인의 표준 오차가 커졌으며, 일부 변인은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verviews a stratified sampling design of PISA, the use of replicative weights, and the analysis strategies with plausible values taking into account the sampling variance and the measurement error variance in standard error estimation.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 study investigated education-contextual variables differentiating a group of students achieving the below-basic proficiency level from other students in PISA 2009 reading.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weights resulted in substantially different regression coefficients and/or changes in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certain variables.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plausible values were used, and different statistical inference could be made on certain predictors. More importantly, when estimation was based on five plausible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sampling variance and measurement error variance, the standard errors of most variables increased, except the variables that were used for explicit stratifi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changed for certain variabl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 평가의 오용과 남용
- The Effects of Model Misspecification on the Analysis of Judge Ratings
- 교차분류 다층자료에 대한 모형의 명세화 오류가 모수추정량의 편의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 An Application of Bayesia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ensitivity of Bayesian Analysis for Item-Level Measurement Invariance
-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 행렬표집가교문항설계의 대규모시험에서 베이지안 IRT 동등화의 최적 사전정보 탐색
- 불확실 Q행렬 요소의 비율 및 사례수가 베이지안 RDINA모형을 이용한 Q행렬 요소 추정의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토빗매개모형을 활용한 절단자료의 매개효과추정
- 유한혼합분포에 대한 EM 알고리듬을 사용한 다집단 IRT 추정 방법의 원리와 기능
- PISA 표집 설계에 따른 모수 및 분산 추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