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초ㆍ중ㆍ고급 학습자 ‘-는데1’, ‘-다가’, ‘-도록2’ 사용 양상과 오류 분석
이용수 416
- 영문명
- A Study on Error analysis about ‘-neunde’, ‘-daga’, ‘-dorok’ in Chinese Learners' Korean Based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진염민(陈 艳 敏)(Chen, Yan-Min)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35집, 385~4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ole of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MDH)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rough error analysis of the Chinese students, who learn Korean. According to MDH, Those areas of the target language which differ from the native language and are more marked than the native language will be difficult. ‘-neunde, -daga, -dorok’ are marked in Korean but the corresponding grammatical marks are unmarked in Chinese. Two languages are very different in markedness. So we make three hypothesis about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in order to know how much influence they have on second language learning according to the markedness differ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order of the frequency of use is related to the order of learning, but it isn't related to the markedness difference. And the markedness difference has a great impact on second language learning. Errors will appear continuously, although the proficiency increases because of the markedness difference.
(Central China Normal University/Silla University)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초ㆍ중ㆍ고급 단계 ‘-는데1’, ‘-다가’, ‘-도록2’의 사용 양상과 오류 양상
4. ‘-는데1’, ‘-다가’, ‘-도록2’의 오류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천의 창작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의미
- 대조분석에 입각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 김사량의 「天馬」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 신학적 문학의 적대에 관한 연구(1)
- 중국인 초ㆍ중ㆍ고급 학습자 ‘-는데1’, ‘-다가’, ‘-도록2’ 사용 양상과 오류 분석
- 김현승 시의 ‘식물’과 언술 은유에 관한 고찰
- 龜峰 宋翼弼과 無情의 시학
- <서한통속연의(西漢通俗演義)> 번안소설 연구
- 영화 형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 한ㆍ중 지시어 용법의 의미 해석
- 지역 대안 인문학 운동의 활동과 양상
- 현대소설에 나타난 ‘용서와 화해’의 방법과 문학치료
- 절합에 의한 신문 보도 텍스트의 사건 재구성 방법 연구
-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전쟁과 전후(戰後)의 삶
- 여행서사의 인지서사학적 접근(1)
- 1960~70년대 청소년 과학소설 장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