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기 및 비유기 차밭의 토양 특성 및 찻잎 성분 비교
이용수 93
- 영문명
- Comparison of Soil Character and Tea Leaf Components according to a Tea Garden of Organic and Non-organic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김진아(Jin Ah Kim) 서정근(Jeung Keun Suh)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19권 제3호, 62~6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기 및 비유기 차밭의 토양과 찻잎을 수집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찻잎의 주요성분을 비교분석하여 유기차의 품질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되었으며, 2012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국내 차산지인 A와 B지역의 차밭의 토양과 찻잎을 채취하여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물자원환경연구소 연구실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유기와 비유기 차밭의 토양의 이화학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pH는 대부분 생육에 적합한 5.0-6.5범위내에 포함되었고, 유기물 함량은 A지역이 B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치환성 양이온인 Ca과 Mg은 B지역의 비유기차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토양성분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토양의 pH와 EC수준이 높으면 P₂O5, 치환성 K, Ca, Mg의 수준도 높게 나타내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B지역의 비유기차밭의 비교적 높은 pH6.2의 경우는 Ca과 Mg 성분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찻잎의 주요성분 분석결과 비타민 C 성분은 A지역에서 B지역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성분 분석결과 특히 asparagine, serine, arginine, alanine, GABA, lysine, theanine 성분의 경우는 B지역의 유기차밭에서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성분 분석결과 glucose의 경우 A지역이 B지역의 유기차밭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상의 본 연구결과 토양의 P₂O5, 치환성 K, Ca, Mg 성분 함량은 지역간의 pH와 EC에 따라 상호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 되었고, 특히 찻잎의 품질과 차의 맛과 관련된 asparagine, serine, arginine, alanine, GABA, lysine, theanine의 함량은 B지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냈으며 특히 유기 차밭에서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basic data needed to evaluate organic teas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hysical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the major ingredients of tea leaves sampled from an organic and non organic tea garden. This study was performed between February 2012 to July 2012 with the sampled soils and leaves collected from tea producing areas of Sites A and B.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K, Ca, and Mg in soil showed across correlation with pH and EC according to the area, and content of asparagine, serine, arginine, alanine, GABA, lysine and theanine, which are related to tea leaf quality, were comparatively high in area B, particularly in theorganic tea garde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 및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
- 유기 및 비유기 차밭의 토양 특성 및 찻잎 성분 비교
- 미생물 발효차 발효 과정 중 Microflora 변화 양상
- 기독교 선교를 위한 차문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홍차 첨가량 및 발효균주에 따른 화이트 와인의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
- 송대 회화를 통해 본 차문화 공간의 형태와 기능
- 녹차의 고포도당에 의한 간세포 사멸 및 산화성 스트레스 예방효과
- 매실 건강차 소재 성분에 대한 항산화 및 항균작용의 효과
- 20세기 전반기 차생활과 다복을 통해 본 영국 여성의 사회참여
- 선학초의 건조, 분말 및 부분발효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 엄나무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생리기능적 특성
- 한국산 미생물 발효차와 중국산 보이차의 세포학적 관점에서 항당뇨 신증 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 영국 노동계층의 차문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