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국 노동계층의 차문화 연구
이용수 3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British Tea Culture of Working Class -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Victorian Age -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전정애(Jung-Ae Jun)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19권 제3호, 43~5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ea culture of the working class in the Victorian Ag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charity works of evangelical Christians, the spirit of philanthropy, and teetotalism based on prevailing self-help movements. Churches and charities heartily embraced poor laborers who led a miserable lives and made them taste of a caring and humane society. These workers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icher and more powerful Britain and “tea” appeased their anxiety and hunger. The Victorian tea culture, being ushered out by the temperance movement that urged Britons to abstain from alcoholic drinks and to chose tea inste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conciling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nd leading to an increased tea consumption as well. Thus, tea would be said to be a spiritual drink of Britons and that reflected the universal tea culture with the spirit of the Victorian times. As seen from the example of the British tea culture, a mere tea drinking practice could not be set as a culture until people of all ranks and classes adopted as a popular culture. The working class had five meals a day: breakfast, lunch or luncheon, dinner (midday meal), tea, supper, among which lunch and tea was refreshment between main meals. Judging from tea typically being served at all meal, it is now safe to conclude that tea was indispensable to the British isles.
목차
Abstract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 및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
- 유기 및 비유기 차밭의 토양 특성 및 찻잎 성분 비교
- 미생물 발효차 발효 과정 중 Microflora 변화 양상
- 기독교 선교를 위한 차문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홍차 첨가량 및 발효균주에 따른 화이트 와인의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
- 송대 회화를 통해 본 차문화 공간의 형태와 기능
- 녹차의 고포도당에 의한 간세포 사멸 및 산화성 스트레스 예방효과
- 매실 건강차 소재 성분에 대한 항산화 및 항균작용의 효과
- 20세기 전반기 차생활과 다복을 통해 본 영국 여성의 사회참여
- 선학초의 건조, 분말 및 부분발효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 엄나무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생리기능적 특성
- 한국산 미생물 발효차와 중국산 보이차의 세포학적 관점에서 항당뇨 신증 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 영국 노동계층의 차문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