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송대 회화를 통해 본 차문화 공간의 형태와 기능

이용수  499

영문명
Analysis of the Form and Function of Tea Culture Space Depicted in Song Dynasty Paintings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고연미(Yeon-Mi Ko)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19권 제3호, 27~4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rm and function of tea culture space on the Song dynasty paintings. This paper employed two methods to examine the literature on the royal palace, private garden, tea house and paintings of tea culture in the Song dynasty.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was that the emperor's, literary men's, Buddhist monks, and stall keepers' space form of tea culture were observed in the royal palace, private garden, temple in mountain, and stree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ace function of tea culture suggests that literary men held mostly literary gatherings including literary activity and tea parties, Buddhist monks had tea ceremonies in the Seon temple near the mountain, and stall keepers took pleasure in Song's representative tea culture called tea fight and sold tea prepared in advance on the street.

목차

Abstract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연미(Yeon-Mi Ko). (2013).송대 회화를 통해 본 차문화 공간의 형태와 기능. 한국차학회지, 19 (3), 27-42

MLA

고연미(Yeon-Mi Ko). "송대 회화를 통해 본 차문화 공간의 형태와 기능." 한국차학회지, 19.3(2013): 27-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